소리와 언어

[소리와 언어 17] LU, LUFS, LKFS, dB, 라우드니스, 완벽 가이드: 믹싱부터 마스터링까지

moodyblues 2025. 4. 2. 19:32
728x90

소리가 ‘얼마나 큰지’를 측정하는 기준들이 이렇게나 많다니, 마치 온도계를 섭씨, 화씨, 켈빈으로 각각 쓰는 것 같아서 헷갈립니다.

오디오를 다루다 보면 dB, LU, LUFS, LKFS, 라우드니스, EBU R128, ATSC A/85, AES 규격 등 온갖 용어가 쏟아집니다. 특히 큐베이스나 기타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로 믹싱·마스터링을 공부하는 초보자라면, “도대체 왜 이렇게 복잡한가?”라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지요.
본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용어에 대한 사전적 정의부터 시작해 실제 믹싱·마스터링·오디오 익스포트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체계적으로 빠짐없이 정리합니다. 

🌸 1. LUFS와 dBFS: 개념 차이 쉽게 이해하기

 

 

🌼 용어 정리

용어 의미 비고
LUFS (Loudness Units Full Scale) 인간이 느끼는 ‘체감 음량’을 기반으로 측정한 단위 소리의 ‘존재감’ 또는 '사람 귀에 느껴지는 크기'
dBFS (Decibels Full Scale) 디지털 오디오에서의 최대 피크(0dBFS 기준)와 비교한 실제 신호의 크기 소리의 ‘실제 전기적 크기’, 즉 진폭
  • LUFS는 귀로 느껴지는 음량
    ➜ 사람마다 느끼는 "시끄러움", "조용함" 같은 감각
    ➜ 같은 dB라도 베이스만 울리면 덜 시끄럽게 느껴짐
  • dBFS는 신호의 물리적인 크기
    ➜ 믹서에서 보이는 피크 미터 수치
    ➜ 예: 순간적으로 드럼이 "탁!" 치면 dB는 확 올라감

🌸 2. 플랫폼별 Max Integrated (LUFS)와 Max True Peak (dBTP)

  • 플랫폼은 실제 Loudness Target이 변하거나 유동적이기 때문에 대략적인 기준값으로 이해하면 됩니다.(일부 수치는 변동 가능성이 있음, 매년 바뀌는 곳도 있고, 규정이 없는 곳도 많음)
플랫폼 Max Integrated (LUFS) Max True Peak (dBTP) 비고
TV (EBU R128) -23 LUFS -1 dBTP 방송용 기준 (유럽), 일부 -24 LUFS도 존재
Movie (Cinema) -24 ~ -27 LUFS -2 dBTP 극장 믹싱 기준
CD -9 LUFS -0.1 ~ -1 dBTP 라우드니스 전쟁 시기 기준, 요즘은 다양
DVD/Blu-ray -27 LUFS -2 dBTP 영화 믹싱 기준과 동일
YouTube -14 LUFS -1 dBTP 업로드 후 자동 노멀라이즈
Netflix -27 LUFS -2 dBTP 방송/시네마 기준 유지
Spotify -14 LUFS -1 dBTP 노멀라이즈 방식 선택 가능
SoundCloud -8 ~ -13 LUFS -1 dBTP  
Apple Music -16 LUFS -1 dBTP Sound Check 기준
Tidal -14 LUFS -1 dBTP Loudness Normalization on 시
Amazon Music -14 LUFS -1 dBTP  
Deezer -15 LUFS -1 dBTP 체감상 기준

🌼 참고 글: 소리와 언어에 관한 시리즈 글 목록

🌸 '소리와 언어'에 관한 시리즈
글1: 소리란 무엇인가? - 소리의 정의 및 기본 개념
글2: 소리의 물리학 - 파동의 개념과 소리의 본질
글3: 소리의 물리학 - 소리의 특성과 원리, 소리의 3요소
글4: 고유 진동수와 공명: 자연의 울림을 이해하다
글5: 보컬 공명: 공명(Resonance) vs 공진(Sympathetic Vibration)의 음악적 이해
글6: 소리의 반사(Reflection), 잔향(리버브, Reverb)
글7: 소리의 생애를 그리다: Attack부터 Release까지, ADSR 완전 이해하기
글8: 리버브와 딜레이, 에코의 차이: 소리는 왜 울리는가 – 리버브, 딜레이, 에코의 모든 것
글9: 물리적 소리 이론에 의한 심벌의 소리 분석: 라이드 심벌, 차이나 심벌, 크래시 심벌 2, 라이드 벨의 차이 및 용도
글10:소리의 크기, 세기, 음압의 차이? 데시벨 단위: dB, dB SPL, dBFS 
글11:소리의 위상(Phase)과 보컬 더블링 방법 (1), 보컬 더블링 패닝, 믹싱
글12:소리의 전달 방향, 탄성파와 전자기파, 횡파와 종파
글13:로그(Log): 세상에서 가장 쉬운 설명-숫자의 발자국을 따라가다, 로그(Log)의 탄생
글14:소리의 주요 단위들: dB (데시벨), Hz(헤르츠), 센트 (Cent)
글15:로그와 데시벨: dB, dB SPL, dBFS, dB(전력), dB(전압, 압력)에 대한 세상에서 가장 확실한 정리
글16: 믹스 보이스의 의미와 공명현상: Mix Voice의 오해와 진실_Mixed Voice, 믹스 보이스 뜻과 의미

🌸 3. Max Integrated vs. Max True Peak: 차이점

항목 내용  
Max Integrated (LUFS) 전체 곡의 평균 체감 음량 영화 한 편을 다 보고 느낀 전체 ‘볼륨 느낌’
Max True Peak (dBTP) 순간 최고점의 실제 디지털 피크 영화 중 갑자기 터지는 폭발음의 최대 크기
  • Max Integrated LUFS는 ‘하루 종일 소음 측정기’를 달고 있었을 때의 평균 값
  • Max True Peak dB는 ‘갑자기 옆에서 풍선 터뜨린’ 순간의 최대치

🌹 LUFS는 K-weighted 필터를 거친 측정값이기 때문에, 단순한 dBFS (디지털 레벨)와는 완전히 동일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표에서 Max Integrated와 Max True Peak 수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YouTube:

  • -14 LUFS: 전체 음량을 이 수준으로 맞추길 원함 (사람이 듣기에)
  • -1 dBTP: 순간 피크가 -1dBFS를 넘지 않게 해야 함 (클리핑 방지)

🌼 "Integrated"의 사전적 의미

Integrated
: "통합된", "전체로 결합된", "한 덩어리로 합쳐진"이라는 뜻

🌼 오디오에서의 "Integrated"의 의미 (Integrated LUFS)

🌹 LUFS에서의 Integrated란?

곡 전체를 통틀어 계산한 ‘전체 평균 음량’을 의미합니다.

  • 순간 음량이 아닌,
  • 짧은 구간(Short Term), 특정 순간(Momentary)도 아닌,
  • 노래 전체의 시간 동안 측정된 체감 음량의 평균입니다.

🌹 더 쉽게 설명하면:

영화의 소리 예시:

  • Momentary LUFS: 어떤 한 장면에서 폭탄 터질 때의 체감 음량
  • Short-Term LUFS: 한 씬(예: 3~10초) 정도의 체감 음량
  • Integrated LUFS: 영화 전체를 본 뒤 느껴지는 전체 소리의 평균적인 크기

🌹 밥으로 설명하면:

  • Momentary: 지금 막 씹은 한 입의 밥
  • Short-term: 한 숟갈
  • Integrated: 밥 한 공기 전부 먹고 나서 느끼는 전체 밥맛의 평균

🌼 Integrated LUFS는 왜 중요한가?

플랫폼에서 음원 볼륨을 자동 조절(Loudness Normalization) 하기 위해 "곡 전체가 얼마나 크게 들리는가?"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입니다.

  • 예: YouTube는 업로드된 음원의 Integrated LUFS가 -14보다 크면 자동으로 줄입니다.
Integrated LUFS 전체 곡의 체감 음량 평균 밥 한 공기 전체의 평균 맛
Momentary LUFS 400ms 순간 체감 음량 밥 한 입의 맛
Short-term LUFS 약 3초간의 평균 음량 한 숟갈의 맛

🌸 4. K-weighted 필터란?

K-weighting은 사람의 귀가 주파수를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반영한 필터입니다.
ITU-R BS.1770 표준에서 사용되며, LUFS 계산의 핵심입니다.

🌼 쉽게 말하면?

  • 사람 귀는 1kHz~4kHz에 가장 민감하고, 저음/고음엔 둔감합니다.
  • 단순 RMS는 이걸 반영하지 않지만, LUFS는 K-weighting을 통해 반영합니다.

🌼 보충설명

  • RMS: 데시벨 측정기처럼 기계가 계산한 물리적 평균
  • LUFS (K-weighted): 사람 귀가 듣는 식으로 측정된 평균 (실제 체감 반영)

 🌸 5. LUFS, RMS, dBTP(또는 Peak)의 관계 & 비교

항목 의미 주요 차이
RMS (Root Mean Square) 전체 신호의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평균 레벨 단순 평균 (사람 귀 고려 X)
LUFS 사람 귀의 민감도를 고려한 체감 음량 K-weighted 필터 통과 (귀 기준)
Peak (TP) 순간 최대치 (0 dBFS 기준) 진짜 최대, 클리핑 방지용

예시)
-9 LUFS ≠ -9 RMS
하지만 RMS가 -11.9라면, LUFS는 대략 -12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곡 스타일과 구성에 따라 차이 있음)

🌹 시각적 비교

신호:   ───▄───█──▄───█──▄─── (여러 주파수 섞인 음악)

RMS:     평균 에너지 값 측정 (그냥 전기적 평균) ➝ -12 dB  
LUFS:    귀가 더 잘 듣는 대역만 반영해서 측정 ➝ -14 LUFS  
Peak:    순간적으로 가장 큰 파형 ➝ -2 dBTP

🌸6. dB와 LUFS, dBTP

(1) dB의 사전적 의미와 어원

  • 데시벨(dB, decibel): 소리의 크기(음압), 전류, 전압 등 ‘비율’을 로그 스케일로 표현하는 단위입니다.
  • 어원: ‘벨(Bell)’은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의 이름을 딴 것이고, ‘데시(desi)’는 10분의 1을 뜻합니다. 따라서 1벨(B) = 10데시벨(dB)이 되지요.

(2) 여러 종류의 dB

  • dBFS(Decibels Full Scale): 디지털 오디오에서 최대치(클리핑 지점)를 0dBFS로 잡고, 그 아래가 -∞ dBFS까지 존재합니다.
    • 예: 믹싱을 할 때 많이 보는 레벨 미터가 dBFS 기반입니다.
  • dBu, dBV, dBm 등: 전압, 전력, 임피던스 같은 조건이 다를 때 쓰는 dB 단위입니다.
    • 처음 사용자라면 우선 dBFS를 가장 많이 마주치게 될 것입니다.

비유: dBFS는 “수위를 잴 때 댐의 꼭대기를 0으로 정하고, 물이 내려갈수록 마이너스 측정값”이 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 7. LU와 LUFS (라우드니스 단위)

(1) LU(Loudness Unit)의 정의

  • LU: 라우드니스를 1dB 단위로 표현하는 개념입니다. 1LU = 1dB 차이와 거의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 EBU R128 등의 표준에서, 단순히 “라우드니스가 1dB만큼 변했다”라고 표기할 때 LU라는 단위를 씁니다.

(2) LUFS(Loudness Units Full Scale)의 정의

  • LUFS: 디지털 전체 스케일(Full Scale)을 기준으로 라우드니스를 측정한 단위입니다.
  • EBU(유럽방송연맹)에서 제정한 라우드니스 표준(EBU R128)을 기반으로 하며, 측정 시 인체 청각 특성을 반영하므로, 단순 dBFS와는 다른 ‘실제 들리는 크기’를 측정합니다.
  • 1LUFS = 약 1dB 차이와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는 라우드니스 알고리즘을 사용하지만, 수치적으로 1LUFS 차이 = 1dB 정도 차이로 간주합니다.)

비유: dBFS가 “신호 세기의 절댓값”을 본다면, LUFS는 “실제 사람 귀에 들리는 크게 느껴지는 정도”를 반영해 측정한 값입니다. 마치 “실내 온도와 체감 온도”의 차이를 생각하면 됩니다.

🌸 8. LKFS와 LUFS의 차이

  • LKFS: ATSC(미국 디지털 TV 규격) A/85에서 사용하는 라우드니스 표기입니다.
    • L: Loudness
    • K: K-Filtering(특수 필터)
    • FS: Full Scale
  • LUFS: EBU R128에서 사용하는 표기이자, 약간 다른 필터링을 적용합니다.
  • 실제로는 두 기준이 매우 유사하고, “LUFS = LKFS”로 거의 동일한 숫자를 보입니다. 다만 방송 표준마다 호칭이 다를 뿐입니다.

🌸 9. EBU R128, ATSC A/85, AES 규격이란?

(1) EBU R128

  • 유럽방송연맹(EBU)이 정한 라우드니스 표준으로, 프로그램 라우드니스, 트루 피크, 라우드니스 레인지 등 여러 측정값을 제시합니다.
  • 권고 라우드니스: 통상 -23 LUFS를 기준으로 합니다(방송 표준).

(2) ATSC A/85

  • 미국 방송표준으로, -24 LKFS 정도가 기준이며, 디지털 방송의 음량 균일화를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3) AES 규격

  • AES(Audio Engineering Society): 오디오 분야에 대한 국제 표준을 다양하게 제정합니다.
  • 라우드니스, 디지털 인터페이스, 포맷 등에 대한 여러 지침이 존재합니다.

🌸 10. 왜 이렇게 다양한 측정 지표가 있을까?

  1. 방송 vs. 스트리밍 vs. 극장 등 사용처의 차이
    • TV 방송은 프로그램 간 음량 차이를 줄이는 데 초점을 둡니다.
    • 스트리밍 플랫폼은 ‘음악을 듣는 환경’에 최적화된 기준을 제시합니다.
    • 극장은 다채널 서라운드 환경에서 다이내믹 레인지를 크게 유지합니다.
  2. 인간 청각 특성 고려 여부
    • 단순 파형(Peak, RMS)으로는 “실제로 들리는 크기”와 차이가 생깁니다.
    • 그래서 K-필터(K-Weighting) 등 청각 필터를 적용한 측정법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3. 역사·지역·관련 단체별 표준화 노력
    • 유럽(EBU), 미국(ATSC), AES, ITU 등 각 단체가 독자적 혹은 협력 형태로 표준을 마련하면서, 명칭이나 기준값이 조금씩 달라졌습니다.

🌸 11. 1 LUFS는 몇 dB일까?

  • 결론: 1 LUFS와 1 dB는 수치상 거의 동일합니다.
  • 실제 측정 시 “-24 LUFS”라고 하면 “-24 dBFS와 비슷하게 느껴진다” 정도로 이해할 수 있지만, 엄밀히는 K-필터를 통과한 ‘체감 음량’을 기준으로 한 값이기 때문에 단순히 dBFS와 1:1 대응은 아닙니다.
  • 쉽게 기억하기: LUFS 값이 1만큼 변하면, 실제 느낌상도 1dB 차이가 난다고 보면 됩니다.

🌸 12. 믹싱·마스터링·오디오 익스포트 시 라우드니스와 미터 활용 가이드

(1) 믹싱 단계에서의 라우드니스

  1. 레벨 구조(Headroom) 확보
    • 믹싱 시 트랙별로 너무 0dBFS 근처까지 올리지 말고, 헤드룸(-6dB ~ -10dBFS 정도)을 두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 과도한 클리핑을 막고, 각 트랙 간 밸런스를 안전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2. 참고 레퍼런스
    • 내 믹스가 특정 장르에서 흔히 사용하는 라우드니스 레벨과 비슷한지 체크합니다.
    • 다만, 이 단계에서는 아직 최종 라우드니스를 맞추기보다는 밸런스가 더 중요합니다.

(2) 마스터링 단계에서의 라우드니스

  1. 목표 스트리밍 기준 확인
    • 위 플랫폼 별 Max Integrated (LUFS)와 Max True Peak (dBTP) 확인
  2. 인터그레이티드(Integrated) 라우드니스 측정
    • 마스터링 시 Integrated Loudness 값, 즉 전체 곡을 재생했을 때의 평균 라우드니스를 확인합니다.
    • EBU R128 기반의 라우드니스 미터나 ITU-R BS.1770 계열의 미터로 측정 가능합니다.
  3. 트루 피크(True Peak) 관리
    • 단순 Peak 미터(dBFS) 대신 오버샘플링 등을 고려한 트루 피크를 체크해야, 디지털 시스템에서 인접 샘플 사이의 실제 신호가 0dBFS를 넘는 ‘인터샘플 피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트루 피크가 0dBFS를 넘지 않도록 -1dBFS 정도로 제한(Limiter)하는 것이 일반적 권장사항입니다.

 

 

(3) 오디오 익스포트(출력) 시 최종 체크

  1. 포맷
    • WAV(24비트, 32비트 float) 등 무손실 포맷으로 먼저 익스포트한 뒤, 이후 필요한 용도에 맞춰 MP3 또는 AAC로 변환합니다.
  2. 샘플링 레이트
    • 일반적으로 44.1kHz 또는 48kHz를 쓰지만, 영상 목적이면 48kHz가 표준입니다.
  3. 라우드니스 리미터(Loudness Normalization) 확인
    • 스트리밍 서비스 업로드 시, 자동으로 노멀라이징이 적용될 수 있으니 최종 파일의 라우드니스를 재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지나치게 크게 마스터링하면, 오히려 플랫폼에서 볼륨이 깎일 수 있습니다.

🌸 13. 마무리

  1. 처음엔 dBFS부터 친숙해지자
    • 모든 DAW에서 볼 수 있으니, 클리핑을 피하고 안전하게 레벨을 잡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2. 이후에는 LUFS 미터를 적극 활용
    • 곡 전체의 평균 라우드니스를 파악하고, 스트리밍 플랫폼별 권장값에 맞출 때 필수입니다.
  3. 기억할 것은
    • 1LUFS = 거의 1dB 차이,
    • EBU R128 표준 = 유럽 방송, -23 LUFS 추천,
    • ATSC A/85 표준 = 미국 방송, -24 LKFS 추천,
    • 스트리밍은 대체로 -14 ~ -16 LUFS 정도 목표.

LU, LUFS, LKFS, dB, 라우드니스, 완벽 가이드
LU, LUFS, LKFS, dB, 라우드니스, 완벽 가이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