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728

[소리와 언어 23] 사인파, 사각파, 삼각파, 톱니파 : 소리의 얼굴을 읽는 법, 큐베이스 속 파형들

많은 분들이 음악 소프트웨어(특히 큐베이스 같은 DAW)를 사용하면서도, LFO 모양이나 오토메이션 커브에서 보게 되는 사인파(Sine), 삼각파(Triangle), 사각파(Square), 톱니파(Saw), 포물선(Parabola) 같은 파형들이 무엇인지, 어디서 온 것인지, 왜 쓰이는지는 잘 모르고 사용하곤 합니다.여기에 대해, 기초 개념부터 물리학적 기반, 소리로서의 특징, 음악적 활용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파형(Waveform)이란?소리는 결국 진동(vibration)입니다. 이 진동이 공기 속을 타고 전달될 때, 일정한 시간에 따라 압력의 변화가 생기고, 그것을 시각적으로 그린 것이 바로 ‘파형’입니다.이 파형의 모양에 따라 소리의 성질(음색, 공격감, 부드러움, 날카로움 등)이 크게 달..

소리와 언어 2025.04.13

[소리와 언어 22] 훅의 법칙과 조화진동의 비밀: 고무줄의 리듬

고무줄을 당겼다가 놓을 때, 그 안에는 '자연의 리듬'이 숨어 있습니다.우리 주변엔 수없이 많은 진동이 존재합니다. 휴대폰의 진동, 기타 줄의 떨림, 그네의 앞뒤 움직임까지 - 모두 자연이 만들어내는 ‘리듬’입니다. 이 리듬의 바탕에는 ‘훅의 법칙(Hooke’s Law)’과 ‘조화진동(Simple Harmonic Motion)’이라는 물리학적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 훅의 법칙 (Hooke’s Law) 이란?훅의 법칙은 간단합니다. “당기면 당긴 만큼 튕긴다.” 고무줄을 생각해봅시다. 살짝 당기면 살짝, 세게 당기면 세게 다시 돌아오려 하죠. 이처럼 물체가 원래 위치로 돌아가려는 힘은 늘어난 거리(변형)에 비례합니다.공식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생겼습니다:F = -kx여기서 F는 복원력, k는 고무줄의 ..

소리와 언어 2025.04.13

[소리와 언어 21] 리듬의 심장, 탐(Tom)의 과학과 감성 : 소리의 곡선을 디자인하다, 탐(Tom)과 ADSR 곡선

탐(Tom)은 둥둥 울리는 타악기라기보다, 그것은 리듬 속의 멜로디이며, 시간의 흐름을 감정으로 바꾸는 소리의 곡선이다.그 탐이 만들어내는 울림의 과학, 각 탐의 특성과 역할, 그리고 음악에서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탐구해 본다.리듬의 심장, 드럼 셋트 중 탐(Tom)의 과학과 감성: 탐(Tom)의 과학적 분석과 ADSR 곡선탐(Tom)이란 무엇인가: 소리의 몸통드럼 세트에서 탐은 킥과 스네어 사이의 리듬적 곡선을 담당하는 타악기이다.‘둥’ 하고 울리며, 리듬에 굴곡을 만들고 감정의 무게를 실어준다.그 울림의 본질은 진동하는 드럼헤드와 공명통의 물리적 상호작용이다.크기가 크고 두꺼울수록 저주파가, 작고 얇을수록 고주파가 발생하며,이로 인해 탐은 하이탐에서 로우탐으로 갈수록 울림의 길이와 깊이가 달라진다...

소리와 언어 2025.04.10

[소리와 언어 20] 세상의 모든 소리는 혼자 울리지 않는다 – 순음, 배음, 그리고 진동의 철학, 배음 조절과 톤 디자인

이 세상에 순음은 없다. 소리는 배음과 함께 태어난다.우리가 듣는 하나의 소리는, 그 자신에서 시작해, 수많은 ‘배음’, 또는 ‘고조파’와 함께 울린다.배음 고조파에 관한 상세한 참고 글: 배음과 고조파: 음악과 물리의 조화로운 대화순음은 존재하는가? 순음과 배음, 고조파(하모닉스)의 원리자연계에서 완벽한 순음이 들릴 확률은 거의 0%에 가깝고,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소리는 거의 모두 복합음입니다.순음이란 무엇인가?순음(Pure Tone)은 단 하나의 주파수만으로 구성된 소리입니다.가장 이상적이고, 이론적으로 완전한 사인파(sine wave)입니다.예: 튜닝용 신호음 "삐~~~"수학적 표현: y = A · sin(2πft)현실에서 이 ‘순음’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실제 소리는..

소리와 언어 2025.04.10

Astra와 Beatmaker가 "Splice 구독을 재활성화하세요"라고 뜰 때, 해결하는 법

분명히 Splice Creator 플랜을 구독 중인데도, Astra나 Beatmaker를 실행하면 계속해서 "구독을 재활성화하라"는 메시지가 뜨는 문제에 대해 정리합니다.오류 메시지: Astra 또는 Beatmaker 플러그인을 실행할 때 아래와 같은 메시지"Reactivate your Splice subscription"You must have an active Splice subscription to use Astra.To continue, restart your plan and click "Refresh".하지만 Splice 계정에 들어가 보면, 분명히 "Active" 상태로 구독 중이고, 크레딧도 충분히 남아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러그인은 작동하지 않거나, 인증이 안 된다는 메시지를 계속 ..

음악/큐베이스 2025.04.10

[소리와 언어 19] 비브라토(Vibrato): 비브라토 방법, 비브라토와 트레몰로의 차이, 비브라토와 바이브레이션, Pitch Vibrato

"비브라토(Vibrato)"는 소리의 생명력, 감정의 파장, 호흡의 미묘한 흔들림을 담아내는 가장 인간적인 표현 기술 중 하나입니다. 비브라토의 물리적 원리, 예술적 목적, 장르별 차이, 올바른 발성 원리와 훈련법까지 정리합니다.🌸 비브라토(Vibrato)란?용어뜻내용Vibrato이탈리아어 “vibrare(흔들다)”에서 유래음악에서 소리를 작게 떨리듯 흔드는 효과Vibration라틴어 “vibrare” → 진동물리학에서 진동 또는 떨림 현상국어 사전 뜻(음악) 소리의 높이나 세기를 주기적으로 미세하게 흔들어 표현하는 창법 🌸 물리적 원리: 진동과 파동의 예술적 제어비브라토는 말 그대로 “미세한 주기적 진동”입니다.🌼 주로 변화하는 두 가지:구분내용Pitch Vibrato음의 높이가 ±2~7Hz 속도..

소리와 언어 2025.04.08

[소리와 언어 18] 우리가 소리를 듣는 방식: 칵테일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 청각 시스템과 소리 인지

우리가 소리를 듣는 방식에 대해, 귀와 뇌를 하나의 “오케스트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귀는 소리가 들어오는 문, 뇌는 소리의 해석자.”우리가 “소리를 들었다”고 말할 때, 실제로는 공기의 떨림이 귀를 통해 들어와, 마침내 뇌 속에서 ‘의미’를 가지는 과정이 일어난 것입니다.이건 마치 빛이 눈을 거쳐 마음에 그림을 남기듯, 소리는 귀를 거쳐 마음에 감정을 남기는 것과 같습니다.🌼 소리와 언어에 관한 글 목록🌸 '소리와 언어'에 관한 시리즈글1: 소리란 무엇인가? - 소리의 정의 및 기본 개념 글2: 소리의 물리학 - 파동의 개념과 소리의 본질 글3: 소리의 물리학 - 소리의 특성과 원리, 소리의 3요소 글4: 고유 진동수와 공명: 자연의 울림을 이해하다 글5: 보컬 공명: 공명(Resonance)..

소리와 언어 2025.04.08

[소리와 언어 17] LU, LUFS, LKFS, dB, 라우드니스, 완벽 가이드: 믹싱부터 마스터링까지

소리가 ‘얼마나 큰지’를 측정하는 기준들이 이렇게나 많다니, 마치 온도계를 섭씨, 화씨, 켈빈으로 각각 쓰는 것 같아서 헷갈립니다.오디오를 다루다 보면 dB, LU, LUFS, LKFS, 라우드니스, EBU R128, ATSC A/85, AES 규격 등 온갖 용어가 쏟아집니다. 특히 큐베이스나 기타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로 믹싱·마스터링을 공부하는 초보자라면, “도대체 왜 이렇게 복잡한가?”라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지요.본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용어에 대한 사전적 정의부터 시작해 실제 믹싱·마스터링·오디오 익스포트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체계적으로 빠짐없이 정리합니다. 🌸 1. LUFS와 dBFS: 개념 차이 쉽게 이해하기  🌼 용어 정리용어의미비고LUFS (Lo..

소리와 언어 2025.04.02

[소리와 언어 16] 믹스 보이스의 의미와 공명현상: Mix Voice의 오해와 진실_Mixed Voice, 믹스 보이스 뜻과 의미

믹스 보이스(Mix Voice)는 흔히 “가슴과 머리 사이의 소리를 섞어서 내는 발성”으로 요약되곤 하지만, 실제로는 단순히 두 성구(가슴·머리)에서 따로 생성된 소리를 물리적으로 합치는 행위가 아닙니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성대 접촉 방식과 공명 포인트(Resonance)를 유연하게 조절하여 낮은 음역에서의 안정감(‘흉성: 가슴성구’라 불리는 Chest Voice)과 높은 음역에서의 부드러움(‘두성: 머리성구’라고 하는 Head Voice)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발성 방법과 그 발성법에서 나온 결과물(소리)을 가리킵니다. 구분믹스 보이스의 “결과물”믹스 보이스의 “과정”청각적 관찰Chest + Head 특성이 섞인 소리자연스럽고 이질감 없는 연결된 흐름보컬 훈련 관점겉으로 들리는 음색성대 조절 + 공..

소리와 언어 2025.04.02

[소리와 언어 15] 로그와 데시벨: dB, dB SPL, dBFS, dB(전력), dB(전압, 압력)에 대한 세상에서 가장 확실한 정리

🌸 소리를 숫자로 듣다 — 로그가 만든 감각의 단위, 데시벨(dB)데시벨은 단위가 너무 큰 ‘소리의 세계’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게 바꾼 단위데시벨(dB) = 10 × log(P₂ / P₁) → 전력이나 세기 기준의 비율dB SPL = 20 × log(P / P₀) → 실제 소리 압력 기준🌼 상용로그란?: 로그에 대해서는 아래 글 13 참고보통 log라고 쓰면 밑이 10인 로그를 의미합니다.다시 말해, log(x)는 log₁₀(x)와 같은 의미입니다.🌸 '소리와 언어'에 관한 시리즈글1: 소리란 무엇인가? - 소리의 정의 및 기본 개념 글2: 소리의 물리학 - 파동의 개념과 소리의 본질 글3: 소리의 물리학 - 소리의 특성과 원리, 소리의 3요소 글4: 고유 진동수와 공명: 자연의 울림을 이해하다 ..

소리와 언어 2025.04.0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