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right"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세워놓은" 형태를 뜻하는 말 같지만, 음악에서는 훨씬 더 정밀하고 기능적인 용어로 사용됩니다. 이 글은 음악 용어로서의 "Upright" 개념, 그리고 어떤 악기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이해하고 구분할 수 있도록 정리한 글입니다.
Upright의 어원과 기본 개념
- 영어 "upright"는 본래 "똑바로 선, 수직의"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 음악에서는 단순한 자세를 넘어서, 다음과 같은 기능적 개념으로 확장됩니다:
"Upright" = 구조적으로 수직 형태이며, 특정 전통 악기의 "세워서 연주하는 버전" 또는 "공간 효율적인 구조"를 지칭하는 음악 용어
Upright이라는 용어가 실제로 사용되는 악기들
(1) Upright Bass
- 뜻: 더블베이스(Double Bass), 콘트라베이스(Contrabass)
- 용도: 전기 베이스(Electric Bass)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
- 특징:
- 베이스 기타와 달리, 몸에 걸지 않고 세워서 연주
- 핑거 피치카토(손가락), 또는 활(bow)을 사용
- 클래식, 재즈, 영화음악, 포크 등에서 자주 쓰이며, 부드럽고 깊은 나무 울림이 특징
(2) Upright Piano
- 뜻: 수직형 피아노
- 용도: Grand Piano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
- 특징:
- 그랜드 피아노는 현이 수평으로 배치되지만,
- 업라이트 피아노는 현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간을 절약
"업라이트"라는 말은 단어 그대로 '세운 꼴' 또는 '직립형 구조'를 의미하며, Upright Piano는 피아노 현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형태의 피아노를 뜻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그랜드 피아노(Grand Piano)와는 구조상 뚜렷한 차이를 가집니다:
구분 | 업라이트 피아노 | 그랜드 피아노 |
현의 방향 | 수직(세워져 있음) | 수평(눕혀져 있음) |
공간 차지 | 작고 좁은 공간에 적합 | 넓은 공간 필요 |
해머의 동작 방향 | 앞쪽으로 → 수평 타격 | 위로 올라가서 수직 타격 |
가격대 | 보급형~중급 중심 | 중고가~고급 중심 |
- 업라이트 피아노는 높이가 제한된 구조이기 때문에,
같은 길이의 현을 그대로 세워 배치하면 공간이 부족해집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을 두 파트로 나눠 교차 배치하는 구조를 사용합니다.
업라이트 피아노의 해머 작동 방식
- 그랜드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면 해머가 위로 올라가서 위쪽에 있는 현을 때립니다.
- 반면 업라이트 피아노는 해머가 전면 수직으로 꺾인 구조로 되어 있어,
건반을 누르면 해머가 앞으로 나가며 앞쪽에 세워진 현을 때립니다.
이러한 구조는 컴팩트함을 가능하게 하지만,
해머가 자연스럽게 복원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그랜드 피아노보다 반복 타건성(빠른 연타성능)은 다소 떨어집니다.
따라서 업라이트 피아노는:
- 공간이 제한된 가정용
- 예산을 고려한 학원/교회 등
(3) (드물게) Upright Accordion / Harp
- 특정 구조나 연주 자세를 강조하기 위해 마케팅적 용어로 사용되기도 함
- 하지만 음악계 전반에서는 일반화된 표현은 아님
첼로(Cello)는 왜 "Upright"이라고 부르지 않을까?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습니다:
"첼로도 세워서 연주하잖아? 그럼 Upright Cello 아닐까?"
하지만, 음악 용어에서는 그렇게 부르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비교 대상이 없기 때문
- 베이스는 "Electric Bass"와 "Upright Bass"라는 명확한 구조/연주 형태 차이가 존재
- 피아노는 "Grand"와 "Upright"라는 형태 구조 차이가 존재
하지만,
- 첼로는 전통적으로 언제나 "세워서 연주"하는 악기입니다.
- "가로형 첼로"라는 개념 자체가 없기 때문에, 굳이 "Upright"이라는 말을 덧붙일 필요가 없습니다.
2. "Upright"이라는 용어가 구분을 위한 기능어일 때만 사용됨
- 음악 용어에서 "Upright"은 단지 연주 자세가 아니라,
대비되는 다른 구조 또는 악기가 있을 때 그 차이를 구분하기 위한 용어입니다.
예외: Electric Upright Cello
- 전자 악기 제조사에서 프레임형 전자 첼로를 "Upright Electric Cello"라고 마케팅할 수는 있음
- 하지만 이것도 표준적인 용어는 아니며, 주로 "E-Cello" 또는 "Electric Cello"로 분류됩니다
정리
악기 | Upright 용어 사용 여부 | 설명 |
피아노 | Upright Piano | 수직 구조 vs Grand Piano |
베이스 | Upright Bass | 전기 베이스 vs 더블베이스 |
첼로 | Upright 미사용 | 구조상 구분 대상이 없음 |
하프/아코디언 등 | 드물게 사용 | 마케팅적 표현, 일반화되지 않음 |
결론
"Upright"는 음악에서 이 용어는 구조적 차이, 연주 자세, 음향적 특성을 구분하는 기능어입니다.
그래서 첼로처럼 항상 세워 연주되는 악기에는 굳이 "Upright"이라는 말을 붙이지 않습니다.
이러한 구분을 명확히 이해하면, 악기 이름만으로도 그 구조와 음색의 특성, 연주 맥락까지 정확히 유추할 수 있는 음악적 감각이 생깁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