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보컬에서의 공명은 '물리학적 공명'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보컬에서의 공명은 물리학적 공명과 좀 다릅니다. 목욕탕이나 동굴에서 소리가 울려퍼지는 것도 공명일까요? 아닙니다.
🌼 목차
3. 소리의 물리학 - 소리의 특성과 원리, 소리의 3요소
🌺 1. 보컬 공명: 물리학적 공명(Resonance) vs 공진(Sympathetic Vibration)의 차이
🌼 공명(共鳴)과 공진(共振)의 한자 뜻
단어 | 한자 | 뜻 |
---|---|---|
공명 | 共鳴 | 함께 공(共) + 울릴 명(鳴) → “함께 울림” |
공진 | 共振 | 함께 공(共) + 떨릴 진(振) → “함께 떨림” |
🌼 실생활 속 공명과 공진 예시
- 그네: 고유 진동수에 맞춰 밀면 점점 더 크게 흔들림 → 공명
- 와인잔: 가수가 잔의 고유 진동수에 맞는 음을 내면 깨질 수 있음 → 공명
- 건물과 다리: 바람이나 지진이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에 맞으면 흔들림 → 공명
- 기타 줄: 한 줄을 튕기면 같은 주파수를 가진 다른 줄도 울림 → 공진
🌹 즉,
- 공명(共鳴)은 ‘소리가 함께 울린다’는 데 초점
- 공진(共振)은 ‘진동이 함께 발생한다’는 데 초점입니다.
🌹 그리고, 공명은 청각적으로 들리는 울림에 더 가깝고
🌹 공진은 진동이나 에너지의 전달, 또는 물리적 반응에 더 가깝습니다.
🌼 의미상의 차이: 특정 주파수 또는 반응
항목 | 공명(共鳴) | 공진(共振) |
---|---|---|
뜻 | 특정 주파수에서 진동이 증폭되며 강하게 울리는 현상 | 다른 물체가 진동에 반응해 함께 떨리는 현상 |
조건 | 고유 진동수와 정확히 일치하는 주파수 필요 | 완벽히 일치하지 않아도 유사한 주파수에서 반응 가능 |
특징 | 진동이 점점 강해진다, 에너지 축적 | 진동이 동기화된다, 에너지 전달 |
예시 | 와인잔 깨뜨리기, 그네 밀기, 빌딩 공진 사고 | 기타 줄의 공명, 피아노의 현이 함께 떨리는 현상 |
🌹 정리하자면:
- 공명은 정확히 특정 주파수에서만 주로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
→ 소리나 진동이 폭발적으로 커질 수 있음 - 공진은 조금 더 느슨한 개념으로,
→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비슷한 주파수에서 함께 떨리는 반응
구분 | 공명 (Resonance) | 공진 (Sympathetic Vibration) |
---|---|---|
의미 | 특정 주파수가 공간이나 물체에서 강하게 울림 | 다른 소리가 울려서 함께 떨리는 현상 |
작용 대상 | 공간, EQ, 보컬 톤, 악기 자체 | 악기 내부, 현 간 상호작용, 공간 내 울림 |
예시 | 특정 주파수가 마이크나 룸에서 과도하게 울리는 현상 | 피아노 페달을 밟은 채 특정 음을 치면 다른 현도 울림 |
🌺 2. 보컬에서의 공명
🌹 보컬에서의 공명은 물리학적 공명과 결이 좀 다릅니다.
- 보컬 톤은 공명에 크게 의존합니다.
- 예: 가슴공명, 비강공명 등은 인체 내부에서 특정 주파수를 증폭시키는 방식입니다.
- 좋은 보컬은 자신만의 공명 포인트를 정확히 알고, 그것을 잘 사용합니다
그러나, 보컬 공명은 물리학적 공명(Resonance)과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보컬 공명은, 특정 ‘주파수 하나’를 키우는 것이라기보다, 소리의 에너지 중심을 ‘어디에 울리게 할 것인가’를 조절하는 기술입니다.
🌼 물리학적 공명 vs 보컬 공명의 차이
구분 | 물리학적 공명 | 보컬 공명 |
---|---|---|
정의 | 특정 주파수가 물체의 고유 진동수와 맞아 진동이 증폭됨 | 인체 내부 공간에서 소리를 증폭시키는 발성 기술 |
주파수 관점 | 특정 Hz에서만 강하게 울림 | 넓은 음역대에서 ‘어디서 울릴지’를 조절 |
목적 | 진동 증폭, 음향 증강 | 음색 조절, 발성 효율, 공명 울림 확보 |
예시 | 와인잔 깨지기, 튜닝 포크 공명 | 가슴공명, 두성, 비성, 혼합공명 등 |
그러므로,
보컬 공명은 '하나의 특정 주파수'를 키우는 것이라기 보다, 각 음역대에서 울림의 중심(공명 공간)을 최적화하는 기술입니다.
즉,
- 성대에서 만들어진 소리가 목, 가슴, 두개골, 비강 등 신체 내부 공간을 통과하면서
- 특정 주파수(음역대)가 자연스럽게 증폭되는 현상입니다.
- 이때 울림통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신체의 빈 공간들입니다.
공명 위치 | 설명 | 음색 특징 |
---|---|---|
가슴공명 | 흉곽(폐 주변)에서 울림 | 두껍고 묵직한 소리 (중저음) |
두성공명 | 두개골, 이마, 정수리 위쪽 | 맑고 밝고 띄는 느낌 (고음) |
비강공명 | 코 뒷부분, 비강 | 날카롭고 쨍한 울림 (선명한 소리) |
🌺 3. 결론
🌹 보컬은 특정한 공명 지점을 잘 사용할수록
→ 작은 에너지로도 풍부하고 큰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목욕탕이나 동굴에서 소리가 울려퍼지는 것은 공명일까요? 그것은 공명이 아닙니다. 그 이유는 다음 글에서 설명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