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742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종합소득세 납부기한 연장

1.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종합소득이 있는 자 종합소득이란: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부동산 임대업 포함),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 종합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다음 글 참고 소득과 소득금액의 차이: 다음 글 참고 1-2) 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대상: 종합소득세를 확정 신고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1) 근로소득만 있는 자로서 연말정산을 한 경우에는 종합소득세를 확정 신고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는 확정 신고해야 한다. 2인 이상으로부터 받은 근로소득, 공적연금소득, 퇴직소득 또는 연말정산대상의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주된 근무지에서 합산하여 연말 정산하고 세금을 이미 납부한 경우는 제외) 원천징수 의무가 없는 근로소득 또는 퇴직소득이 ..

[기타 연주] 재즈기타 코드 완전 정복 (1) - 6번줄 근음

1. 재즈 기타 코드 완전 정복 - 7화음(4화음) 코드 Triad(3화음) 위에 음을 더 쌓아서 7th Chord(7화음)을 얻을 수 있다. 7th Chord는 4화음으로 부르는 게 맞다. 그러나 대학교 강의에서도 7화음으로 부르고 있다. 그러므로 대충(4화음 혹은 7화음으로) 부르기로 한다. 7th Chord는 현대음악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인데,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7도 위에 음인 텐션(Tension)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코드는 3화음과는 색채가 많이 다르다. 3화음(Triad)은 전위를 해도 2도가 되는 음정이 없는데 비해, 7th Chord는 전위를 하면 2도에 접하는 음 간격이 생기는데 이 음색이 독특하고 세련된 색깔을 갖는다. 이 화음들을 귀로 들어 익히고 소리를 구별할 수..

[화성학] 음정 계산 방법-음정표

화성학 음정 계산 방법 : ← 음정 Interval 음정 계산을 쉽고 빠르게 하는 방법 1) 다음 2가지를 기본으로 기억해야 한다. 1, 4, 5 ,8은 완전 음정이다. 2, 3, 6, 7은 장음정이다. 2) 반음 수를 기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완전 4도, 완전 5도, 장 6도, 장 7도를 기본으로 기억한다. 화성학 음정 계산 방법 온음 수 반음 수 단,감음정 장음정 증음정 완전음정 도~도 0 0 완전1도 perfect.unison 도~#도 0+1/2 1 단2도 minor 2nd 도~b레:단2도 도~레 1 2 장2도 major 2nd 도~#레 1+1/2 3 증2도 augmented 2nd (3) (=단3도) 도~b미:단3도 도~미 1+1 4 장3도 major 3rd 도~파 2+1/2 5 완전4..

[기타 연주] 스케일이란-스케일 의 종류-자연단음계-화성단음계-가락단음계-펜타토닉-믹소리디안-도리안-로크리안-프리지안-애드립 방법

1. 스케일(Scale)이란 스케일이란 어떤 음을 기준으로 한 옥타브의 연속되는 음들의 배열이다. 스케일은 일반적으로 7개 음으로 구성되는 Heptatonic이다 그러나 아래와 같이 5음, 6음, 7음, 8음 등으로 구성되는 옥타브도 있다. 5음 : 펜타토닉(Pentatonic) 6음 : 헥사 토닉(Hexatonic) 7음 : Heptatonic 8음 : Octatonic 그러나 위 모든 옥타브의 공통점은 그 옥타브 속의 반음 수를 합하여 12개라는 점이다. 이것은 인간의 음악사에 있어 진리이다. 이것은 미래에도 영원히 인간의 음악에 있어 진리이다. 세상의 모든 인간 음악은 반음 수를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서 나왔고, 나오고, 나올 것이고 지구 상의 모든 인간 음악은 이 반음 수 12개를 활용하여 작곡..

[기타 연주] 기타 지판의 원리-같은 음 찾는 법과 원리

1. 기타 지판(fretboard)의 원리: 기타 지판 쉽게 외우기, 기타 지판 암기법 기타는 한 옥타브의 fretboard(지판)이 12 프렛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 이유는 인간의 음악에 있어 한 옥타브는 12개의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인간이 존재해 왔고, 존재하고, 앞으로 존재하는 한 불변의 법칙이다. 인간이 한 옥타브 안에서 13개의 반음을 듣는다면 이미 그는 인간이 아니거나 신이거나 곤충이다. Frets : 반 음의 경계를 나타내 주는 금속 부분이다. 1 fret 올라가고 내려옴에 따라 반음씩 높아지고 낮아진다. 위의 그림에서 사각형 안이 1옥타브 지판의 구간이다. 즉 12 프렛(fret)이 속해 있는 구간이다. 각 줄 간의 음정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 6번 줄 음정 프렛..

먼셀(Munsell) 10색, HSB 색상환과 무지개 색상-Rainbow

1. 먼셀(Munsell) 10색과 무지개 색상-Rainbow 무지개 색상은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은 ROYGBV이다. 즉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Violet, 우리나라 말로는 '빨, 주, 노, 초, 파, 보'이다. 남색은 제외된다. 그러나 우리는 무지개 색상을 '빨, 주, 노, 초, 파, 남, 보'라고 7색으로 부른다. 인간의 눈으로 남색은 굳이 구분하기 어려운 색이다. 뉴턴은 처음에 무지개 색상을 빨, 주, 노, 초, 파, 청, 보(ROYGBIV)라고 불렀다. 파란색이라고 부르는 영역은 지금의 청록색이다. 청록색은 하늘색과 유사하며 지금의 파란색을 뉴턴은 보라색(violet)이라 불렀다. 제비꽃((violet) 색깔이다. 즉 짙은 파란색이다. 무지개 색상에 굳이 남..

기타 스케일 폼 5가지

1. 기타 스케일 5가지 : Guitar Scale 5가지 모양 스케일은 모든 음악의 기본이다. 스케일은 한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기역(ㄱ), 니은(ㄴ)을 먼저 알아야 하는 것과 같고, 잉글리시를 배움에 있어 a, b, c, d를 먼저 배워야 하는 것과 같다. 스케일은 기본이지만, 원래 기본이란 어렵다. 스케일에는 무수한 종류가 있는데, 메이저 스케일, 마이너 스케일, 펜타토닉 스케일이 있고, 또한 아이오니안(Ionian), 도리안 스케일, 프리지안 스케일, 리디안 스케일, 믹소 리디안 스케일, 에올리안 스케일, 로크리안 스케일에 통달해야 하고, 그 외에 별로 중요하고 또 중요하지 않은 스케일들이 많이 있다. 이 스케일 들에 대해서는 다음 글부터 정리한다. 이 글에서는 기타 연주에 있어 이 스케일들을 ..

[증여세율] 증여세 세율-세대를 건너뛴 증여-증여세 면제 한도액-과세 최저한

1. 증여세율과 상속세율 증여세 세율은 상속세 세율과 같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56조에는 증여세 세율에 대해 나와 있는데 증여세율은 상증법 제26조에 규정된 세율을 적용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상증법 제26조는 상속세율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56조 (증여세 세율) 증여세는 제55조 에 따른 과세표준에 제26조에 규정된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이하 “증여세 산출세액”이라 한다)으로 한다. 2. 증여세율 ← 상증법 제26조 아래 표와 같다. 과세표준 금액 증여세율 누진공제액 과세표준 1억원 이하 10% 과세표준 1억원 초과 5억원 이하 20% 1천만 원 과세표준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30% 6천만 원 과세표준 10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40% 1억 6천만 원 과세표준 3..

[증여세] 증여재산 공제-배우자공제-직계비속 증여공제-증여세 면제한도액

1. 증여재산 공제 수증자(증여받는 사람)가 비거주인 경우 증여재산공제를 받을 수 없다. 증여받는 사람이 거주자인 경우 수증자를 기준으로 증여재산 공제를 한다. 2. 배우자 증여재산 공제 배우자에게서 증여를 받는 경우 10년 동안 증여받은 재산을 합하여 6억 원을 공제한다. 배우자 공제는 법률혼만 적용한다 아내가 남편에게 증여, 남편이 아내에게 각각 증여하는 경우 각각 6억 원 적용한다. 배우자 공제금액의 지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분 금액 1997년 1월 1일 ~ 2002년 12월 31일 5억원 2003년 1월 1일 ~ 2007년 12월 31일 3억원 2008년 1월 1일 ~ 현재(글 작성일:2022. 5. 4) 6억원 3. 직계비속 공제, 직계존속 공제 1) 직계비속 2014년 1월 1일 이후, 이..

[증여세] 계산 방법-증여재산의 종류-부모 자식간 차용증 이자율-보험금 증여

1. 증여세 완전포괄주의 '증여'란 그 명칭이나 형식에 관계없이 경제적 가치를 계산할 수 있는 유형재산 또는 무형재산을 직접, 간접으로 타인에게 무상 이전할 경우에 모두 해당한다. 즉 현저히 낮은 가격에 재산을 매매하는 경우도 증여로 본다. 현저히 낮은 가격에 친족끼리 주식을 양도하는 경우도 증여로 본다. 상속세, 증여세 등 세금을 대신 내주는 것도 증여로 본다. 즉 명칭이나 형식에 관계없이 결과적으로 타인에게 경제적으로 이익을 귀속시키는 경우 이를 증여로 보고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이 증여세 완전 포괄주의 과세이다. 1) 상증법 제2조 6항, 7항의 정의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 6항, 7항 6. “증여”란 그 행위 또는 거래의 명칭ㆍ형식ㆍ목적 등과 관계없이 직접 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타인에게 무상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