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740

[소리와 언어 4] 고유 진동수와 공명: 자연의 울림을 이해하다

소리가 만들어 내는 신비한 자연 현상: 고유 진동수와 공명 현상1. 소리란 무엇인가? - 소리의 정의 및 기본 개념2. 소리의 물리학 - 파동의 개념과 소리의 본질3. 소리의 물리학 - 소리의 특성과 원리, 소리의 3요소4. 고유 진동수와 공명: 자연의 울림을 이해하다🌸 공명이란 무엇인가?공명(共鳴, Resonance)이란 "함께 울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共(함께 공) + 鳴(울릴 명) → "함께 울리는 현상"영어로는 Resonance(레저넌스)라고 하며, "다시 울려 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공명은 어떤 물체가 특정한 주파수에서 강하게 진동할 때, 주변의 다른 물체도 함께 진동하는 현상입니다. 쉽게 말해, 같은 주파수를 가진 소리나 진동이 물체를 자극하면, 그 물체도 점점 더 강하게 떨리며 반응하는..

소리와 언어 2025.03.20

[소리와 언어 3] 소리의 물리학 - 소리의 특성과 원리, 소리의 3요소

소리의 물리학 - 소리의 특성과 원리목차1. 소리란 무엇인가? - 소리의 정의 및 기본 개념2. 소리의 물리학 - 파동의 개념과 소리의 본질3. 소리의 물리학 - 소리의 특성과 원리이 글에서 사용되는  용어Frequency (프리퀀시) - 주파수Pitch (피치) - 음높이Amplitude (앰플리튜드) - 진폭Loudness (라우드니스) - 음량Waveform (웨이브폼) - 파형Timbre 팀브르) - 음색Resonance (레저넌스) - 공명Sympathetic Vibration (심퍼쎄틱 바이브레이션) - 공진Doppler Effect (도플러 이펙트) - 도플러 효과Reflection (리플렉션) - 반사Absorption (앱소프션) - 흡수Refraction (리프랙션) - 굴절Binaur..

소리와 언어 2025.03.19

'민감국가' 지정, 한국은 왜 포함됐을까 : '민감국가' 뜻과 의미, 대응방안, 민감국가 리스트

1. '민감국가'란 무엇인가?'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의 영어 표현'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의 정확한 영어 표현은 '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SCL)'입니다.민감국가란?마치 학교에서 ‘요주의 학생’을 따로 관리하듯이, 국제 사회에서도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나라를 따로 지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라고 합니다. 이 개념은 특히 미국이 국가 안보, 핵 확산 방지, 첨단 기술 보호 등의 이유로 특정 국가를 지정할 때 사용됩니다.미국 에너지부(DOE)는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 SCL)’을 운영하며..

생활정보/시사 2025.03.17

[소리와 언어 2] 소리의 물리학 - 파동의 개념과 소리의 본질

소리는 보이지 않는 파동이다목차(지난 글)1.  소리란 무엇인가? - 소리의 정의 및 기본 개념2. 소리의 물리학 - 파동의 개념과 소리의 본질소리는 마치 보이지 않는 물결과 같다. 바람이 스치듯 조용히 다가오기도 하고, 천둥처럼 강렬하게 퍼지기도 한다. 하지만 소리는 눈에 보이지 않으며, 손으로 잡을 수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소리를 듣고, 감각하며, 때로는 온몸으로 느낀다. 소리가 어떻게 생성되고 퍼지는지 이해하려면, 우선 ‘파동(Wave)’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파동이란 무엇인가?파동은 에너지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물질 자체가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만 전달된다. 예를 들어, 바닷가에서 물결을 본 적이 있는가? 바람이 불면 물결이 앞뒤로 움직이지만, 바닷물이 실제로 해변까지..

소리와 언어 2025.03.16

[소리와 언어 1] 소리란 무엇인가? - 소리의 정의 및 기본 개념

한밤중 창밖에서 들리는 빗소리, 먼 곳에서 울려 퍼지는 종소리, 가족의 다정한 목소리,  우리는 매일 수많은 소리와 함께 살아간다. 하지만 소리는 눈에 보이지도, 손으로 만질 수도 없다. 그런데도 소리는 우리의 감정을 흔들고, 기억을 떠오르게 만들며, 때로는 감동하게 만든다. 소리란 무엇일까?소리의 본질: 물리적 현상 vs. 인지적 경험소리는 단순한 물리적 파동이면서도 동시에 감각과 감정을 일깨우는 특별한 경험이다. 과학적으로 보면 소리는 물체가 진동하며 공기, 물, 또는 고체를 통해 전달되는 파동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소리는 단순한 물리적 진동이 아니다. 그것은 누군가의 목소리가 되어 위로를 건네고, 음악이 되어 감정을 움직이며, 경적 소리가 되어 주의를 환기시킨다.소리의 물리적 원리: 떨림이 만드는 ..

소리와 언어 2025.03.16

영상, 소리, 이미지가 랜선과 Wi-Fi를 통해 전송되는 원리: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데이터 이동 과정

영상, 소리, 이미지가 랜선이나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원리모니터는 수많은 픽셀(불빛)이 초고속으로 색을 바꿔가며 영상을 표시한다.그렇다면 이 영상, 소리, 이미지가 인터넷(랜선)이나 공기(무선 네트워크, Wi-Fi, 블루투스 등)를 통해 어떻게 전달될까?쉽게 말하면, 우리가 보는 영상과 소리는 "전기 신호(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전달된 후, 다시 화면과 스피커에서 원래 모습으로 복구되는 것이다!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은 "디지털 택배 시스템"과 비슷하다.1. 아날로그 vs 디지털 –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본 개념영상, 소리, 이미지 등 모든 정보는 원래 "아날로그 신호"이다.하지만 인터넷(랜선, Wi-Fi)은 "디지털 신호(0과 1)"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그래서 아날로그 → 디지털 변환(..

주사율(Hz) vs 주파수(Hz) 차이: PC 모니터 구입 시 꼭 알아야 할 점

PC 모니터를 구입할 때 "Hz(헤르츠)"라는 용어를 자주 보게 된다.그런데 Hz는 모니터뿐만 아니라 소리(음향)에서도 사용되는 단위이다.둘 다 "Hz"를 쓰지만 의미는 완전히 다르다.주사율(Hz)과 주파수(Hz)는 어떻게 다를까?모니터와 스피커에서 "Hz"라는 단위를 사용하지만, 각각 다른 개념이다.모니터의 Hz(주사율, Refresh Rate)화면이 초당 몇 번 새로 그려지는지 나타내는 수치60Hz = 1초에 화면을 60번 새로 그림144Hz = 1초에 화면을 144번 새로 그림 (더 부드러운 화면)주사율이 높을수록 마우스 움직임과 게임 화면이 더 부드럽게 보임소리의 Hz(주파수, Frequency)음파(소리의 진동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100Hz = 초당 100번 공기가 진동 (저음, 둥둥거리는 소..

블로그 & IT 2025.03.13

HDMI vs DisplayPort 차이점 & 듀얼 모니터 연결 방법

1. HDMI vs DisplayPort, 뭐가 다를까?컴퓨터와 모니터를 연결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두 가지 포트가 있습니다.바로 HDMI와 DisplayPort(DP)입니다.이 둘은 영상과 소리를 화면으로 보내는 기능을 하지만, 성능과 용도가 다릅니다.비유로 쉽게 이해하기HDMI = TV 리모컨일반적인 사용에 적합 (TV, 영화 감상, 일반 모니터, 게임 콘솔 등)호환성이 높고 쉽게 사용할 수 있음DisplayPort = 게이밍 키보드게이머, 전문가(디자인, 영상 편집)에게 최적멀티 디스플레이 기능 지원2. HDMI vs DisplayPort, 어떤 차이가 있을까? 주요 차이점 정리항목HDMIDisplayPort (DP)사용 용도TV, 일반 모니터, 콘솔(PS5, Xbox)게이밍 모니터, 전문가용 ..

블로그 & IT 2025.03.13

큐베이스에서 프로젝트 창 빈 공간을 클릭하면 커서가 이동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큐베이스에서 프로젝트 창 빈 공간을 클릭했을 때 커서가 그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기능은 "Locate When Clicked in Empty Space" (빈 공간 클릭 시 커서 이동) 옵션입니다.설정 방법상단 메뉴에서 [Edit] → [Preferences] (Windows) 또는 [Cubase] → [Preferences] (Mac)으로 이동"Transport" (트랜스포트) 카테고리 선택"Locate When Clicked in Empty Space" (빈 공간 클릭 시 커서 이동) 옵션 체크[Apply] → [OK] 클릭 후 설정 적용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프로젝트 창의 빈 공간을 클릭할 때마다 재생 커서가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빠르게 원하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할 때 유용하며, 타임라인을 손쉽..

음악/큐베이스 2025.03.11

큐베이스 14에서 새롭게 추가된 Modulators 기능

큐베이스 14에서 새롭게 도입된 Modulators(모듈레이터)는 오디오 및 가상 악기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강력한 모듈레이션 시스템입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LFO, 스텝 모듈레이터, 랜덤 변조, 매크로 컨트롤 등을 활용하여 음악적 움직임과 다이나믹한 변화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이 기능은 MIDI 트랙에는 직접 적용되지 않지만, 오디오 파일과 인스트루먼트 트랙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Modulators의 주요 기능큐베이스 14의 Modulators는 6가지 주요 모듈레이션 타입을 지원합니다.1. LFO (Low-Frequency Oscillator) - 저주파 발진기 'Low-Frequency'는 낮은 주파수를 의미하며, 'Oscillator'는 '진동시키는 것'을 뜻합니다. 즉, 낮은 주파수..

음악/큐베이스 2025.03.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