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음악 210

텐션(Tension)과 어보이드 노트: 정의, 조건, 사용 이유, 구분 방법

텐션(Tension)은 코드에 추가되는 음으로, 음악적 긴장감을 더하거나 화음을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어보이드 노트(Avoid Note)는 화성적으로 어울리지 않아 피해야 하는 음으로 구분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텐션의 정의와 조건, 사용 이유, 그리고 텐션과 어보이드 노트의 차이를 다음 목차에 의해 설명합니다.텐션의 의의와 용어의 유래베토벤과 쇼팽도 텐션을 사용했을까요?텐션의 정의텐션의 3가지 필수 조건텐션과 어보이드 노트와 구분 방법과 구분 기준텐션의 종류코드 종류별 텐션텐션의 해결1.텐션의 의미, 텐션을 사용하는 이유1) 텐션의 의미와 용어의 유래'텐션'이라는 용어는 라틴어 'tendere'(텐데레)에서 유래했습니다. 이는 '스트레칭하다', '팽팽하게 하다'는 의미를 가지며, 음악에..

디미니쉬 코드와 하프 디미니쉬 코드의 구분: 구성음과 표기법

디미니쉬 코드(diminshed chord), 디미니쉬 세븐스 코드 (Diminished Seventh Chord)와 하프-디미니쉬 코드(half-diminished chord)의 구분 방법과 구성음과 표기 방법디미니쉬 코드(Diminished Chord)는 다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디미니쉬 코드(Diminished Chord) , 디미니쉬 세븐스 코드(Diminished Seventh Chord) , 그리고 하프 디미니쉬 코드(Half-Diminished Chord) . 하프 디미니쉬 코드는 "마이너 세븐 플랫 파이브(Minor 7♭5)"로도 알려져 있으며, 각각의 구성음과 표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구분디미니쉬 코드 (Diminished Chord)  디미니쉬 세븐스 코드 (Diminished Sev..

목관악기(Woodwind)와 브라스(Brass : 금관악기)

1. Woodwind : 목관악기 1) 목관악기를 "Woodwind"라 부르는 이유 "Woodwind"라는 용어는 목관악기를 의미하는데, 이 악기군이 주로 나무(wood)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그러나 금속, 플라스틱, 기타 합성 재료로 만드는 목관악기도 있습니다(아래 참고) 2) 목관악기가 소리를 내는 두 가지 방식 목관악기는 소리를 내는 원리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리드'에 의한 방식 한 방식은 악기에 부착된 리드(얇은 나무조각)가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 방식입니다: 예: 클라리넷, 오보에 (2) '공기 열'의 진동 다른 방식은 악기 안의 공기 열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방식입니다 예: 플루트 3) 목관악기의 재료 전통적으로 목관악기는 나무로 제..

음악/큐베이스 2024.04.15

앙상블(Ensemble)과 스트링 앙상블(String Ensemble), 현악기(String Instruments)의 종류

Ensemble "Ensemble"은 '앙상블'이라고 읽으며, 이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하였고, "함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음악에서는 여러 명의 연주자가 함께 연주하는 그룹을 의미하는데, 이는 솔로 연주자나 단일 악기 연주자들의 집합이 아니라, 여러 악기의 연주자들이 조화를 이루며 함께 연주하는 것을 말합니다. "String Ensemble" "String Ensemble"은 "스트링 앙상블"이라고 읽으며, 주로 현악기들로 구성된 악기 그룹을 말합니다. 스트링 앙상블에는 보통 바이올린, 비올라(중음 바이올린), 첼로, 그리고 때때로 콘트라베이스(더블 베이스)가 포함됩니다. 이들 악기는 모두 현을 문지르거나 때리거나 뜯어서 소리를 내는 현악기에 속합니다. 앙상블의 종류 앙상블은 크기와 종류에 ..

음악/큐베이스 2024.04.01

다이어토닉(Diatonic): 정의, 화음, 그리고 기능

다이어토닉(diatonic)이란다이어토닉(Diatonic)은 그리스어 'dia'(통하여, 사이에)와 'tonos'(음정, 장력)에서 유래한 단어로, 특정 음계 내의 자연음만을 사용하여 구성된 음악적 진행 을 의미합니다. 다른 조(Key)의 음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다이어토닉의 핵심 특징입니다.다이어토닉 화음, 다이어토닉 하모니, diatonic Harmony : 위의 설명과 같은 이유로, 다이어토닉 하모니(diatonic Harmony)는 특정 음계 내의 자연음만을 사용하여 구성된 화음의 진행, 즉 다른 조(Key)의 화음을 포함하지 않는 음악적 구성을 말합니다.다이어토닉 코드는 모두 7개입니다. 각각의 코드는 토닉, 도미넌트, 서브 도미넌트의 기능을 갖습니다.(아래에 설명)I maj7 - ii m7 -..

"Antecedent"와 "Consequent", Contrasting motive

"Antecedent"와 "Consequent", Contrasting motive목차"Antecedent"와 "Consequent"에 대하여예시곡 : "Can't Help Falling in Love""Can't Help Falling in Love"에 대한 설명, 소개 및 가사와 의미 해석"Antecedent"와 "Consequent"는 작곡 용어로써 음악 이론에서 사용됩니다."Antecedent"와 "Consequent"Antecedent (전제)의 "Ante-"는 "before" 또는 "preceding"을 의미하며, "-cedent"는 "to go" 또는 "to precede"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Antecedent"는 "선행하는" 또는 "앞서는"을 의미하며, Consequent (결과)의 ..

XML 파일과 MusicXML: Guitar Pro와 큐베이스 연동 가이드

MusicXML과 Guitar Pro: 큐베이스에서의 활용법목차XML 파일 뜻, MusicXML 파일이란Guitar Pro와 XML 파일큐베이스에서 기타 프로와 XML 파일 활용 방법Cubase와 Guitar Pro를 직접 통합하는 방법Guitar Pro 자체에 내장된 사운드 엔진과 사운드뱅크큐베이스에서 MIDI 파일과 MusicXML 파일 사용 방법에 관한 결론XML 파일, MusicXML 파일XML은 Extensible Markup Language(확장 마크업 언어)의 약자입니다.MusicXML 파일은 음악 악보를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으로 만들어진 이 파일 형식은 다양한 음악 표기법을 정밀하게 표현할 ..

음악/큐베이스 2024.03.06

[음악 상식] 음악에서 "마이너(Minor)"와 "메이저(Major)"라 부르는 이유, 장조, 단조, key 뜻, 각국의 조(key) 표시 방법

음악에서 "마이너(Minor)"와 "메이저(Major)", 장조, 단조, key 목차 메이저(Major) 마이너(Minor) "Key" 각국의 "Key" "메이저(Major)"와 "마이너(Minor)"라 부르는 이유 음악에서 "마이너(Minor)"와 "메이저(Major)"는 각각 단조와 장조를 나타내는 용어로, 화음이나 음계의 성질을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용어들이 사용되게 된 배경은 음악적 감정 표현과 이론적 분류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메이저 (Major) 의미 : "메이저"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더 큰', '더 중요한'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음악에서의 사용 : 메이저 음계는 기본적으로 행복하고 밝은 느낌을 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메이저 음계의 구조는 주요 3도(interval)에서 '큰..

음악 2024.03.04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에서의 다이어토닉 파생 코드, Harmonic Minor 와 Diatonic Harmony

Harmonic Minor와 Diatonic Harmony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은 서양 음악과 한국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여러 마이너 스케일 중 하나입니다. 이 스케일은 자연 마이너 스케일(에올리안 모드)에서 7번째 음을 반음 높여서 생성되며, 이로 인해 독특한 음악적 색채와 하모니가 생겨납니다.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은 다이어토닉 하모니(스케일에서 유래한 화음들)의 생성에 영향을 줍니다.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의 구조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예: A 하모닉 마이너를 기준으로): A, B, C, D, E, F, G#, A 이 스케일에서 주목할 점은 7번째 음(G#)이 반음 높아짐으로써, 6번째 음(F)과 7번째 음(G#) 사이에 1.5톤(3 반음)의 간격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이 큰..

트라이톤(Tritone)과 리딩 톤(Leading Tone), 톤(tone)과 반음(semi-tone), 음과 Step, 트라이톤(Tritone)의 해결, 정격종지 변격종지

트라이톤(Tritone) 트라이톤(Tritone)은 음악 이론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서양 음악의 조화와 긴장감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트라이톤은 세 개의 전체 음(step)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 개의 전체 음(step)은 반음으로 치면 여섯 개의 반음과 같습니다. 즉, 트라이톤은 반음계에서 서로 여섯 반음 떨어진 두 음 사이의 간격과 관련됩니다. 즉, 이 간격 사이의 양쪽 끝에 위치한 "증 4도 관계에 있는 두 개의 음으로, 각각 반음 쪽으로 해결하려는 성질이 강한 두 개의 음"이 트라이톤(Tritone)입니다. 음정 : 트라이톤(3 온음, 혹은 6 반음)은 음정으로 보면 증 4도(증가된 4도) 또는 감 5도(감소된 5도)입니다. 이 두 음은 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