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cubase 12

Cubase Gain Staging 가이드 - 소스·Pre-Gain·페이더·Stereo Out까지

큐베이스에서 깨끗하고 안정적인 믹스를 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이 바로 게인 스테이징(Gain Staging)입니다. 소리의 흐름을 단계별로 이해하고 관리해야, 클리핑 없이 선명한 사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1. Gain Staging이란?Gain Staging은 신호 흐름의 각 단계마다 레벨을 적절히 관리하는 과정을 말합니다.레벨이 한 군데라도 과하거나 부족하면, 왜곡·노이즈·클리핑 문제가 생기므로, Cubase에서는 단계별로 올바른 게인 관리가 중요합니다.2. Cubase 신호 흐름 다이어그램[소스(Source)] │ (악기 내부 볼륨, 오디오 클립, 인터페이스 게인) ▼[Pre-Gain (채널 세팅 e 버튼)] │ (Cubase로 들어오기 직전 신호 보정) ▼[Insert FX..

음악/큐베이스 2025.09.04

큐베이스 멀티아웃 & 라우팅 올인원가이드

Kontakt/ HALion/ 드럼 라우팅, 이펙트 배치, 멀티 저장, 마스터링까지 한 번에정리“소리는 어디로 가고, 어디에서 가공하며, 최종 어디에서 한 파일이 되는가”를 중심으로 큐베이스의 신호 흐름을 끝까지 따라가는 완전가이드입니다.핵심10줄 요약MIDI 트랙 = 연주데이터, 오디오 채널 = 실제소리. 이펙트는 오디오 채널에건다.InstrumentTrack은 기본 1개아웃, Rack Instrument는 멀티 채널 운용에유리.Kontakt 하나에 여러악기를 넣으면→ st.1,st.2…같은 멀티아웃을 열어 각 악기를 분리믹싱.악기를 각각 다른 인스턴스(Kontakt 두 개 등)로 쓰면 → 굳이 멀티 아웃 불필요(이미 트랙이분리).Aux1~4는 Kontakt내부 FX리턴용. 악기 분리용은 st.2, s..

24비트 vs 32비트 Float의 차이점과 녹음 시 선택 방법:보컬 녹음에서 어떤 비트 깊이를 선택해야 할까?

음질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인 비트 깊이(Bit Depth) 는 녹음과 믹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보통 보컬 녹음은 24비트를 많이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32비트 Float(부동소수점) 녹음이 점점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두 비트 깊이의 차이는 무엇이며, 어떤 상황에서 32비트 Float를 사용해야 할까요?24비트 vs 32비트 Float보컬 녹음에서 어떤 비트 깊이를 선택해야 할까? 1️⃣ Bit Depth란?Bit Depth는 디지털 오디오에서 한 샘플이 가질 수 있는 볼륨(진폭) 정보의 정밀도를 결정하는 값입니다.쉽게 말하면, 비트 깊이가 클수록 더 정밀한 오디오를 저장할 수 있으며, 다이내믹 레인지(최소~최대 볼륨 차이)가 넓어집니다.💡 비트 깊이가 높을수록?🎵 더 정밀한 소..

큐베이스에서 이벤트 통합: Bounce Selection vs Event to Part – 어느 것이 더 좋을까?

노이만 Neumann TLM 102 마이크 사양 - 무엇이 좋은 마이크일까? 노이만 Neumann TLM 102 마이크 사양 - 무엇이 좋은 마이크일까?마이크 선택은 녹음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노이만 TLM 102의 사양을 예로 들어봅니다.Neumann TLM 102는 유명한 마이크로, 홈 스튜디오부터 소규모 전문 스튜디오까지 다양한nonipc.com큐베이스에서는 여러 개의 오디오 이벤트를 하나로 묶는 방법으로 두 가지 주요 기능이 있습니다:Bounce Selection → 오디오를 하나의 새로운 파일로 렌더링Event to Part → 여러 이벤트를 그룹화해 하나의 파트로 묶기각 방법의 장점, 단점, 그리고 음질적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Bounce Selection –..

음악/큐베이스 2025.02.24

큐베이스 키 에디터 설정 유지하는 방법: "Editor Content Follows Event Selection"

큐베이스에서 키 에디터를 열 때마다 Snap 버튼이 꺼지고, 컨트롤 레인이 사라지는 불편함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큐베이스의 'Editor Content Follows Event Selection' 옵션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기능이 무엇인지, 어떻게 설정을 변경하면 키 에디터의 설정을 유지할 수 있는지 정리합니다.1. "Editor Content Follows Event Selection"이란?큐베이스에서 "Editor Content Follows Event Selection" 옵션은 새로운 MIDI 이벤트(노트, 패턴 등)를 선택할 때마다 키 에디터(Key Editor)가 해당 이벤트로 자동 변경되는 기능입니다.👉 이 옵션이 켜져 있으면?새로운 MIDI 패턴을 선택할 때마..

음악/큐베이스 2025.02.20

큐베이스(Cubase) Detect Silence 기능: 자동으로 무음 제거하는 방법

녹음된 오디오에서 불필요한 무음(Silence)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큐베이스의 'Detect Silence' 기능을 사용하면, 손으로 일일이 자르지 않고도 불필요한 무음 구간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보컬 녹음, 드럼 편집, 팟캐스트 작업에 유용한 이 기능을 자세히 살펴봅니다.1. Detect Silence란?큐베이스의 "Detect Silence" 기능은 오디오 파일에서 소리가 없는 구간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삭제하는 기능입니다.이 기능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작업이 훨씬 더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됩니다.보컬 녹음 정리 – 노래하지 않는 부분의 배경 소음 제거드럼 트랙 정리 – 킥, 스네어 사이의 빈 공간 삭제하여 깔끔한 믹싱팟캐스트/인터뷰 편집 – 긴 침묵을 자동으로 감지해..

음악/큐베이스 2025.02.19

큐베이스 기타(Guitar) 프리셋: AM Acst Gtr? 이게 무슨 뜻일까?

큐베이스(Cubase)를 사용하다 보면, AM Acst Gtr 80s Lead 같은 이름의 기타 프리셋을 자주 보게 됩니다. 그런데 AM, Acst, E Gtr 같은 약어들이 어떤 의미일까요? 이 글에서는 큐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기타 프리셋의 의미와 활용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큐베이스 기타 프리셋 설명 및 용어 해석1. 프리셋 이름 해석프리셋 이름을 분석하면 특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AM Acst Gtr 80s LeadAM E Gtr Broken Tube이러한 프리셋 이름을 해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프리셋 예시 설명AM Acst Gtr 80s LeadAM(American), Acst(Acoustic), Gtr(Guitar), 80s(1980년대 스타일), Lead(리드 기타)AM..

음악/큐베이스 2025.02.13

큐베이스 프로젝트 백업 옵션 완벽 가이드: 효율적인 백업을 위한 필수 팁

큐베이스(Cubase)에서 프로젝트를 백업할 때, 다양한 옵션이 제공됩니다. 이 옵션들은 프로젝트 데이터를 정리하고 크기를 줄이며, 작업 환경에 맞게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큐베이스의 프로젝트 백업 옵션을 상세히 살펴보고, 올바른 선택을 통해 최적의 백업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큐베이스 프로젝트 백업 옵션1. Keep Current Project Active설명: 현재 작업 중인 프로젝트를 활성 상태로 유지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체크 시: 원본 프로젝트가 활성 상태로 유지되며, 백업된 프로젝트는 단순히 저장만 됩니다.체크 해제 시: 백업된 프로젝트가 활성화되고, 원본 프로젝트는 비활성화됩니다.2. Minimize Audio Files설명: 프로젝트에 사용된 오디오 파일을 ..

음악/큐베이스 2025.01.10

큐베이스 Delete Overlaps 기능 차이점 완벽 정리 (mono vs poly)

큐베이스에서 연속적으로 앞 노트의 뒷부분과 뒤 노트가 겹쳐 있는 경우, 겹친 부분만 제거하려면 "오버랩 노트 삭제(Remove Overlaps)" 기능의 옵션을 활용하거나 논리적인 수정을 해야 합니다. 1. 오버랩 노트 삭제(Remove Overlaps)키 에디터(Key Editor)에서 모든 노트를 선택합니다 (Ctrl+A / Command+A).메뉴에서 MIDI > 오버랩 노트 삭제(Remove Overlaps)를 클릭합니다.(또는 마우스 우클릭으로도 가능합니다.)확인을 누르면 겹친 부분만 깔끔하게 정리됩니다.큐베이스의 Delete Overlaps (mono)와 Delete Overlaps (poly)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1) Delete Overlaps (mono):모노포닉(단음) MIDI ..

음악/큐베이스 2025.01.03

[Cubase 13] 큐베이스 환경설정 (3), Preferences - Editing Project & MixConsole, Tools Modifiers, Tools, Zoom

Cubase, 큐베이스 13 환경설정 (3), Preferences - Editing, Editing Audio 큐베이스 13 환경설정에 관한 지난 글에 이어서 Editing Project & MixConsole, Tools Modifiers, Tools, Zoom에 대해 정리합니다. 지난 글: 큐베이스 13 환경설정(1) Preferences - Editing, Editing Audio 큐베이스 13 환경설정(2) Editing Chord, Editing Controls, Editing MIDI Cubase의 'Preferences' 메뉴 내의 'Editing - Project & MixConsole ' 'Editing - Project & MixConsole' 페이지는 트랙의 파라미터에 관한 옵션입니..

음악/큐베이스 2023.12.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