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Kontakt/ HALion/ 드럼 라우팅, 이펙트 배치, 멀티 저장, 마스터링까지 한 번에정리
“소리는 어디로 가고, 어디에서 가공하며, 최종 어디에서 한 파일이 되는가”를 중심으로 큐베이스의 신호 흐름을 끝까지 따라가는 완전가이드입니다.
핵심10줄 요약
- MIDI 트랙 = 연주데이터, 오디오 채널 = 실제소리. 이펙트는 오디오 채널에건다.
- InstrumentTrack은 기본 1개아웃, Rack Instrument는 멀티 채널 운용에유리.
- Kontakt 하나에 여러악기를 넣으면→ st.1,st.2…같은 멀티아웃을 열어 각 악기를 분리믹싱.
- 악기를 각각 다른 인스턴스(Kontakt 두 개 등)로 쓰면 → 굳이 멀티 아웃 불필요(이미 트랙이분리).
- Aux1~4는 Kontakt내부 FX리턴용. 악기 분리용은 st.2, st.3…을 쓰는 게맞다.
- 드럼(Beatmaker 등)에서 킥/스네어/햇/탐을 개별믹싱하려면 멀티 아웃을 열어 각 패드를분리.
- 오디오파일(킥.wav등)은 트랙 자체가 이미 분리라서 추가 아웃풋 분할 불필요.
- HALion/HALionSonic도 멀티팀브럴: 필요하면 슬롯별로 아웃 나눔, 아니면 Stereo Out 하나로도OK.
- 최종마스터는언제나 StereoOut으로모임. Ozone10은 StereoOut 인서트에건다.
- Kontakt세팅은 Save multi as…(.nkm) 로저장/재사용.
인스턴스(Instance)라는 용어의 뜻
인스턴스(instance)는 원래 "실체화된 하나의 실행 단위"라는 뜻입니다.
- 소프트웨어에서는 어떤 프로그램/모듈을 한 번 불러온 상태를 "인스턴스"라고 합니다.
- 큐베이스·Kontakt 같은 음악 툴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쓰입니다.
음악 소프트웨어에서의 인스턴스
- VSTi(가상악기) 인스턴스
- Cubase에서 Kontakt를 한 번 불러오면 → Kontakt 인스턴스 1개가 만들어진 것.
- Kontakt를 또 불러오면 → Kontakt 인스턴스가 2개 생김.
- 각 인스턴스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서로의 설정에 영향을 주지 않음.
- 예시
- "Kontakt 하나에 Solo+Strum을 같이 로드" → Kontakt 인스턴스 1개에 악기 2개.
- "Kontakt 두 개를 각각 불러와 Solo / Strum을 나눠서 로드" → Kontakt 인스턴스 2개.
- 장단점
- 인스턴스 1개에 여러 악기: CPU·RAM 절약, 대신 멀티 아웃 설정 필요.
- 인스턴스 여러 개로 나눔: 세팅 간단, Cubase에서 이미 채널 분리됨, 대신 CPU·RAM 부담이 좀 늘어남.
Kontakt뿐 아니라...
- Halion, Omnisphere, Serum, Ample Guitar 등 어떤 VSTi든, Cubase에 불러올 때마다 새로운 인스턴스가 생성됩니다.
- 오디오 이펙트 플러그인(예: Ozone, Compressor 등)도 마찬가지로, 트랙에 하나 삽입하면 그것이 그 플러그인의 인스턴스 1개입니다.
목차
- MIDIvs 오디오: 어디에 이펙트를거나?
- Instrument Track vs Rack Instrument
- “언제 멀티 아웃이 필요하고, 언제 스테레오 하나로 충분한가”비교표
- Kontakt 7: Solo/Strum 두악기를 한 인스턴스로 운용(멀티아웃)
- Kontakt 7:악기를 각각 다른인스턴스로 운용(멀티 아웃불필요)
- Beatmaker/드럼 라우팅: 3트랙/8패드 상황별 베스트프랙티스
- 오디오 파일(킥/스네어/햇/탐)의경우
- HALion7 / HALion Sonic 라우팅원리
- 이펙트 배치 규칙(Insert/Send) & Ozone 10위치
- Export: 스테레오 믹스/스테밍(Stem)
- Kontakt 멀티저장/불러오기
- 트러블슈팅체크리스트
1) MIDI vs 오디오: 어디에 이펙트를거나?
- MIDI트랙: 노트·벨로시티등 데이터만 전송. 여기에 EQ/컴프/리버브를걸어도 소리 안바뀜.
- 오디오 채널(=VSTi 아웃, 오디오트랙): 실제소리가 흐르는곳. 이곳에 Insert/Sends를건다.
신호 흐름예시[MIDI 트랙 Ch1] → [Kontakt: Solo] → [KT st.1채널] → [Stereo Out] →[Ozone]
2) Instrument Track vs Rack Instrument
- InstrumentTrack: VSTi 1개 = 오디오 아웃 기본 1개.간단·직관.
- Rack Instrument: 하나의VSTi에 여러 MIDI트랙을붙여 멀티채널 운용+ 멀티아웃 활성화에최적.
3) 언제 멀티 아웃? 언제 스테레오하나?
상황 | 멀티아웃이 유리 | 스테레오 하나로 충분 |
Kontakt 1개 안에 Solo+Strum+Strings 등 여러 악기 | 악기별 채널 분리 필요 | |
각 악기를 각각의 인스턴스로 불러옴(예: Kontakt×2) | 이미 트랙 분리 | |
드럼 패드 개별 EQ/컴프/리버브 필요 | 패드별 Out 분리 | |
간단 데모/빠른 작업 | 빠르고 심플 | |
나중에 Stem Export 예정 | 채널별로 바로 뽑기 |
4) Kontakt 7: Solo/Strum 한 인스턴스로 (멀티아웃)
- Rack → Add Rack Instrument… → Kontakt7(VST3) 불러오기 → “Create MIDI Track”확인.
- Kontakt > View/Workspace →Outputs표시.
- Outputs패널에서 st.2(, st.3…) 추가. (Aux는 FX 리턴용, 악기 분리용은 st.사용)
- CubaseRack의 Kontakt슬롯에서 Activate Outputs(스피커)→
st.1
,st.2
체크. - Kontakt에 Ilya EfimovSolo 로드→ MIDICh=1, Output=st.1.
- Kontakt에 Ilya EfimovStrum 로드→ MIDICh=2, Output=st.2.
- Cubase에 MIDI 트랙2개 준비: Ch1=Solo, Ch2=Strum.
- Mixer에서 KT st.1(=Solo), KT st.2(=Strum) 채널 등장 →여기 Insert/Sends적용.
소리 안 날때: (a)Rack에서 st.2 미활성, (b) KontaktOutputs의 PhysicalOut이 잘못 매핑, (c) MIDI 채널/모니터 버튼 상태확인.
5) Kontakt 7:악기를 각인스턴스로 (멀티 아웃불필요)
- 트랙1=Kontakt(솔로만), 트랙2=Kontakt(스트럼만).
- 이미Cubase에 두 오디오채널이생성되므로 멀티 아웃불필요.
- 각각 트랙에서 바로 이펙트/Send적용.
6) Beatmaker/드럼라우팅
(A) 간단 3트랙예시
- 트랙18=Tom(VSTi), 트랙19=Snare+HH+Crash(VSTi), 트랙20=Kick(오디오)→ 모두 StereoOut으로OK.
- 단, 트랙19에서 스네어/햇/크래쉬를 개별로 다루고싶다면 멀티아웃 활성화 필요.
(B) 8패드(킥·스네어·햇·탐·크래시…) 제대로믹싱
- Beatmaker/Groove Agent 내부에서패드별로 st.1~st.8 할당→ ActivateOutputs로 Cubase에 채널생성.
- 각 채널에 개별 EQ/컴프/Send →최종 StereoOut으로 자동집결.
7) 오디오 파일(킥/스네어/햇/탐)의경우
- 오디오트랙은 이미 독립채널이므로 추가 아웃 분할불필요.
- 고급 믹싱(소리마다 다른 EQ/컴프/리버브)을하려면 트랙을분리해서배치.
8) HALion 7 / HALionSonic
- 한인스턴스에 최대 16슬롯.기본은 StereoOut 하나로합쳐짐.
- 슬롯별로 Out 1/2, 3/4,5/6… 할당하면Cubase에서 채널분리가능.
- HALionSonic도 원리는 동일(세부 라우팅 옵션은 HALion 7이 더풍부).
9) 이펙트 배치 & Ozone10
- Insert(직결):해당 오디오채널에만 적용(예: Solo에만EQ/Comp).
- Send(공유): 여러트랙이 하나의 FX채널(리버브/딜레이)을공유.
- 마스터링(Ozone10): Stereo Out(마스터채널) 인서트에건다.
- 필요 시 그룹버스(예: Drums Bus, Guitars Bus)를 만들고 마지막에 Stereo Out→Ozone.
10)Export
- StereoMixdown: Stereo Out의 결과1파일.
- StemExport: 멀티 아웃/그룹/트랙들을 개별파일로 동시에 뽑기(협업/마스터전달용).
11) Kontakt 멀티저장/불러오기
- File → Save multias…→
.nkm
- 보통 PatchOnly 권장(샘플은 기존 라이브러리참조).
- Patch+Samples/Monolith는 이동·백업 목적일때.
- File →Load… 로 멀티 호출 → 악기/아웃/FX 세팅 즉시재현.
- 자주 쓰는조합은 Save as defaultmulti로 기본값지정.
12) 트러블슈팅체크리스트
- Rack ActivateOutputs에서 st.2(, st.3…)체크했나?
- Kontakt Outputs의 st.2가 Physical Out(3/4 등)에 제대로매핑? routed-|-/63|64면 안됨(X)
- 악기헤더의 Output=st.2, MIDI Ch 일치?
- Cubase KT st.2채널이 믹서에 보이고, 미터가뜨는가?
- MIDI트랙에 이펙트를 건 건 아닌가? (효과없음)
- Strum류는 코드 구역 + 패턴 트리거키를 동시에 사용해야 소리남.
- Mute/Solo/Monitor, 버스 라우팅, 볼륨(-∞) 상태점검.
- 최종마스터는 StereoOut,Ozone은 Stereo Out인서트에.
마무리요약
- 핵심은 신호의 분리와결합: 필요할 때만 멀티아웃으로 분리, 마지막엔 StereoOut으로 결합.
- Kontakt/ HALion/ 드럼 모두 같은 원리로 생각하면 길이 보입니다.
- 멀티는
.nkm
로 저장(콘탁의 경우)해 템플릿처럼 재사용.
보충설명 1
1. 샘플러 트랙 = 하나의 인스턴스
- Cubase의 샘플러 트랙은 Steinberg Sampler Engine을 기반으로 한 VSTi 인스턴스 1개라고 보면 됩니다.
- 따라서 샘플러 트랙을 만들면 Cubase 내부에 자동으로 Sampler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그 트랙 자체가 이미 오디오 아웃을 갖습니다.
- 결과적으로 샘플러 트랙은 Instrument Track과 같은 개념 (VSTi + 오디오 출력이 결합된 형태).
2. 오디오 트랙, 인스트루먼트 트랙, 샘플러 트랙 → 아웃 분리 필요 없음
- 오디오 트랙: 이미 독립된 오디오 채널 → 개별로 믹서에서 보임 → 추가 분리 불필요.
- 인스트루먼트 트랙: 하나의 VSTi 인스턴스와 오디오 아웃이 1:1 연결 → Cubase 믹서에 바로 채널 생성.
- 샘플러 트랙: 위와 동일하게 Cubase 믹서에 채널이 바로 생성.
👉 따라서 이 3종류는 굳이 멀티 아웃을 분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3. MIDI 트랙만 아웃을 신경 써야 하는 이유
- MIDI 트랙은 "데이터"만 전달.
- 자체 오디오 출력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Rack Instrument(VSTi 인스턴스)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 Kontakt/HALion 같은 멀티팀브럴 VSTi에 MIDI 트랙 여러 개를 연결하면, Cubase에서는 오디오 아웃이 1개만 보입니다.
- 이때 악기별로 믹싱하려면 멀티 아웃을 분리해야 합니다.
4. 정리
- 오디오 트랙 = 자체 출력 있음 → 분리 불필요
- 인스트루먼트 트랙 = VSTi 1개 + 오디오 출력 1개 → 분리 불필요
- 샘플러 트랙 = VSTi 인스턴스 1개 → 분리 불필요
- MIDI 트랙 = 오디오 없음, VSTi에 의존 → 멀티 아웃 분리 필요 (Kontakt/HALion 등 멀티 악기를 쓸 때만)
보충설명 2
"멀티팀브럴 VSTi (Kontakt, HALion 등)에 MIDI 트랙 여러 개를 연결했을 때 Cubase에서 보이는 오디오 아웃"이 어디일까?
1. 기본 구조
- MIDI 트랙은 노트 데이터만 보냅니다. (실제 소리는 없음)
- 이 데이터는 Rack Instrument (Kontakt/HALion 등) 로 전달 → 여기서 소리가 발생.
- Cubase에서는 그 소리를 오디오 아웃풋 채널(VST Instrument Channel) 로 보여줍니다.
2. Cubase에서 오디오 아웃 확인 위치
- MixConsole (단축키 F3)
- Kontakt/HALion을 Rack으로 불러오면, MixConsole에 "Kontakt (st.1)" 같은 오디오 채널이 하나 나타납니다.
- 기본값으로는 이 채널만 존재 → 모든 악기가 여기로 합쳐져 출력됩니다.
- 트랙 리스트(프로젝트 창 좌측)
- Rack Instrument를 불러올 때 생성된 기본 오디오 리턴 채널(예: "KT st.1").
- MIDI 트랙 여러 개를 만들어도 오디오 채널은 1개만 생겨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 창에서는 MIDI 트랙만 보이고 실제 오디오는 하나의 채널을 공유합니다.
- VSTi Rack 패널 (오른쪽 Zone)
Rack ▼
→ Kontakt 7(HALion) 옆에 Activate Outputs(스피커 아이콘) 버튼이 있습니다.- 여기서
st.2, st.3 ...
을 활성화해야 MixConsole과 프로젝트 창에 추가 오디오 아웃풋 채널이 생성됩니다.
3. 그림으로 신호 흐름
- [MIDI 트랙 Ch.1] ─┐
- [MIDI 트랙 Ch.2] ─┤ → [Kontakt/HALion 인스턴스] → [KT st.1 오디오 채널] → [Stereo Out]
- [MIDI 트랙 Ch.3] ─┘
👉 MIDI 트랙은 여러 개지만, Cubase 믹서에는 KT st.1 하나만 보임 → 즉 "오디오 아웃이 1개만 보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