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와 언어

[소리와 언어 10] 소리의 크기, 세기, 음압의 차이? 데시벨 단위: dB, dB SPL, dBFS -같은 듯 다른 소리의 세기 단위들 완전 정리

moodyblues 2025. 3. 29. 19:14
728x90

소리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흔히 ‘dB’를 떠올리지만,
정확히 말하면 dB, dB SPL, dBFS는 서로 다른 기준과 목적을 가진 전혀 다른 단위다.
이 글에서는 이 세 가지 단위가 무엇을 기준으로 하며,
어떨 때,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그리고 실제 음악 작업이나 녹음, 믹싱에서 어떻게 쓰이는지를 명확하게 정리한다. 

dB, dB SPL, dBFS각기 다른 기준과 목적을 가진 단위이다.

🌸 '소리와 언어'에 관한 시리즈
글1: 소리란 무엇인가? - 소리의 정의 및 기본 개념
글2: 소리의 물리학 - 파동의 개념과 소리의 본질
글3: 소리의 물리학 - 소리의 특성과 원리, 소리의 3요소
글4: 고유 진동수와 공명: 자연의 울림을 이해하다
글5: 보컬 공명: 공명(Resonance) vs 공진(Sympathetic Vibration)의 음악적 이해
글6: 소리의 반사(Reflection), 잔향(리버브, Reverb)
글7: 소리의 생애를 그리다: Attack부터 Release까지, ADSR 완전 이해하기
글8: 리버브와 딜레이, 에코의 차이: 소리는 왜 울리는가 – 리버브, 딜레이, 에코의 모든 것
글9: 물리적 소리 이론에 의한 심벌의 소리 분석: 라이드 심벌, 차이나 심벌, 크래시 심벌 2, 라이드 벨의 차이 및 용도

🌷 dB, dB SPL, dBFS: 같은 듯 다른 소리의 세기 단위들

단위 풀네임 기준 쓰임
dB decibel 상대적 비율 원리, 수학적 비교 “비율 계산기”
dB SPL decibel Sound Pressure Level 실제 음압 기준 현실 세계의 소리 세기 “공기의 진짜 바람 세기”
dBFS decibel Full Scale 디지털 최대치 기준 컴퓨터/DAW 속의 볼륨 “컴퓨터의 눈금”

🌷 1. dB — 데시벨, 비율의 언어

  • deci (10분의 1) + bel (벨)
  • 벨(Bell)은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에서 따온 단위
  • 데시벨 = 벨의 1/10, 좀 더 정밀하게 측정 가능

🌼 뜻과 개념

  • dB는 절대 수치가 아니라 "비교값"입니다.
  • 어떤 값이 다른 값보다 몇 배 더 큰지를 로그로 표현한 단위

dB는 눈금이 없는 체중계
→ “내가 지난달보다 2배 더 무겁다”는 건 알지만,
→ 정확히 몇 kg인지는 알 수 없음
→ 비율은 알지만 실제 수치는 알 수 없다.

🌼 예시

  • A소리보다 B소리가 6dB 더 크다 = 약 2배 더 강하다

🌷 2. dB SPL — 현실 세계의 소리의 세기

  • Sound Pressure Level = 소리 압력의 정도
  • 단위: 데시벨(dB) + 기준: 기준 음압(20μPa)

🌼 뜻과 의미

  • 현실에서 들리는 실제 소리의 세기를 측정
  • 인간이 가장 가까스로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를 기준(0dB SPL)으로 삼음

dB SPL은 공기 중의 바람 세기를 측정
→ 바람이 세게 불면 세게 회전
→ 기준보다 몇 배 더 세게 부는지를 숫자로 표현

🌼 예시

소리 dB SPL
속삭임 30dB SPL
일상 대화 60dB SPL
지하철 소음 90dB SPL
고통 임계치 120dB SPL

🌷 3. dBFS — 디지털 세계에서의 소리 크기

  • Full Scale = 디지털 오디오에서 표현할 수 있는 최대치
  • 0dBFS = 클리핑이 일어나는 최대 한계

🌼 뜻과 의미

  • 디지털 오디오(DAW,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에서
    “더 이상 커지면 찢어진다”는 절대 상한선

dBFS는 물이 담긴 병에 그려진 최대선
→ 병의 윗부분이 0dBFS
→ -6dBFS면 물이 병의 60~70%까지 찼다는 뜻
→ 넘치면 클리핑, 왜곡 발생

🌼 예시 (믹싱 기준)

  • 보컬 평균 음량: -18 ~ -12dBFS
  • 킥드럼 피크: -6dBFS
  • 마스터링 출력: -0.3dBFS 이하 (넘치면 안 됨!)

🌼 정리

항목 dB dB SPL dBFS
기준 없음 (비율) 실제 공기의 진동 디지털 오디오의 최대치
단위 용도 비교용 현실 소리 측정 컴퓨터 오디오 측정
기준점 상대적 0dB SPL = 20μPa 0dBFS = 완전 최대치
사용 분야 일반 수학/전기 소리측정기, 마이크 DAW, 믹싱, 마스터링
측정 대상 비율 음압 디지털 볼륨

🌷 4. 데시벨에 관한 설명

데시벨이라는 단위가 생긴 배경과 그것이 실제 “도시 소음”과 “이웃 간 소음 문제”에 어떻게 적용되고 오해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설명한다.

🌼 1. 데시벨은 누가, 언제, 왜 만들었는가?

🌹 만든 사람: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Alexander Graham Bell)
→ 전화기 발명자.
전기 통신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위를 만들 필요가 있었다.

🌹 만든 시기:

1920년대 초
→ 미국 AT&T 벨 연구소(Bell Labs)에서 실제 전기 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도입

🌹 왜 만들었는가?

신호가 줄어드는 비율, 즉
🌹 소리가 얼마나 "작아지는가", 또는
🌹 "증폭되었는가"를 ‘비율’로 표현하고 싶어서

데시벨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라, “비교값”이다.

그래서 dB는 "소리가 얼마나 더 크냐/작으냐"를 나타내는 도구이지, 그 자체로는 “정확한 크기”를 알려주지 않는다.

🌼 그렇다면 “도시 소음이 몇 dB냐”는 말은 틀린 말인가?

아니다, 완전히 의미가 없는 건 아니지만, 불완전하거나 불명확한 표현일 수 있다.
왜냐하면…

🌹 "몇 dB"만 말하면 기준이 없기 때문.

  • dB SPL인가요? (실제 공기 압력 기준)
  • dBFS인가요? (디지털 최대치 기준)
  • 어떤 기준점과 비교한 값인가요?

예를 들어,
“이웃 소음이 80dB이야”라고 했을 때,
무엇과 비교해서 80dB인지를 말하지 않으면
→ 듣는 사람마다 전혀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 정확하게 말하는 방법은?

1. 기준 단위를 명확히 해야 한다:

“dB SPL 기준으로 70dB다.”
→ “실제 공기의 압력이 기준보다 몇 배 강하다”는 뜻.
→ 환경 소음 측정은 대부분 dB SPL을 사용한다.

2. 측정 상황을 설명해야 한다:

  • 어디서? (방 안? 창문 옆?)
  • 어떻게? (측정 거리?)
  • 지속 시간? (몇 분간 평균?)

🌼 예시: 일반적인 도시 소음 기준 (단위: dB SPL)

소음 종류 평균 dB SPL 설명
속삭임 30dB SPL 아주 조용한 도서관
일상 대화 60dB SPL 일반 대화 수준
교통 소음 70~80dB SPL 도심 도로
시끄러운 이웃 75~90dB SPL 층간소음, 밤에는 문제될 수 있음
전동공구, 지하철 100dB SPL 이상 청력 손상 위험 가능

🌹 예시2

질문 잘못된 표현 바른 표현
이웃 소음? “옆집이 80dB야!” “거실에서 측정한 결과 dB SPL 기준 80dB로 나왔어요.”
음악 소리 크기? “이 노래는 0dB야!” “디지털 기준으로 -0.3dBFS로 마스터링 되었어요.”
소리 비교? “이게 저것보다 10dB 더 커.” “이 소리가 기준보다 10배 강한 음압입니다.

🌼 정리

항목 의미 잘 써야 하는 이유
dB 비율의 단위 (상대값) 기준 없이 쓰면 오해 발생
dB SPL 실제 공기 속 음압의 세기 환경 소음 측정에 사용
dBFS 디지털 시스템의 최대값 기준 믹싱/마스터링에서 사용

🌷 5. 소리 크기의 단위 및 표현: “소리의 세기, 크기, 음압, 어떤 표현이 맞을까?

“소리의 세기”를 무엇이라 표현하는 게 가장 적절한가?

표현 의미 용도 주의할 점
크기 가장 일상적 표현 일반 대화 물리학적 정확성은 떨어짐
세기 에너지 강도 느낌 ↑ 교육·과학적 문맥 약간 추상적일 수 있음
음압(SPL) 실제 물리 단위 측정기, 오디오 기술 전문적, 실험적 상황에서 사용

🌼 정리하면:

“몇 dB냐?”보다, “어떤 dB냐?”, “무엇 기준이냐?”를 꼭 함께 말해야 진짜 소리의 강도를 제대로 표현하는 것이다.

소리의 크기, 세기, 음압의 차이? 데시벨 단위: dB, dB SPL, dBFS
소리의 크기, 세기, 음압의 차이? 데시벨 단위: dB, dB SPL, dBFS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