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와 언어

[소리와 언어 9] 크래시 심벌, 라이드 심벌, 차이나 심벌, 크래시 심벌 2, 라이드 벨의 차이 및 용도_Crash Cymba,Chinese Cymbal,Crash 2,Ride Bell 사용 방법

moodyblues 2025. 3. 29. 16:02
728x90

드럼 심벌의 각각의 소리를 “물리적 소리 이론”과 “소리의 존재 철학”으로 설명한다.
이 심벌들의 차이는 무엇이고, 왜 어느 곳에 이 심벌들을 사용해야 할까? 앞 글에서 설명한 다음의 이론들과 함께 살펴본다. 🌸🌼🌹

  • 🌹 소리의 물리학 (파동, 공명, 감쇠, 반사, 잔향, 에너지 분산 등)
  • 🌹 ADSR 곡선적 해석
  • 🌹 시간과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미지

🌸 9. 소리의 이론으로 살펴보는 심벌: 크래시 심벌, 라이드 심벌, 차이나 심벌, 크래시 심벌 2, 라이드 벨 차이 및 용도

🌼 Gm129 기준 MIDI 키 배열 요약

크래시 심벌 1 49번 (C#2) 일반적인 폭발 음
라이드 심벌 51번 (D#2) 리듬 유지
차이나 심벌 52번 (E2) 찢어지듯한 이펙트성 음색
라이드 벨 53번 (F2) 또렷한 고음
크래시 심벌 2 57번 (A2) 보조 크래시 (톤 다양화)

🌼 상황별 사용 예시

인트로 시작 크래시1 “펑” : 분위기 열기
후렴 진입 크래시1 + 킥 힘 있게 강조
중간간주 라이드 심벌 규칙적 리듬 유지
드럼 솔로 라이드 벨 맑은 리듬 강조
갑자기 분위기 바꾸기 차이나 심벌 메탈/브레이크 표현

🌸 1. 크래시 심벌 (Crash Cymbal)

🌹 “순간의 폭발, 소리의 번개” = “느낌표, 총성, 우레, 번개, 분수처럼 튀는 빛”

🌼 물리적 분석

  • 고출력의 단발 진폭
  • 강한 어택(Attack), 짧은 서스테인(Sustain), 길게 퍼지는 릴리즈(Release)
  • 고주파 + 중주파 에너지 
  • 반사와 잔향이 강하게 분산 → 공간 전체에 흩뿌려지는 효과

🌼 사용 용도

  • 시간의 전환점, 감정의 발화
  • 소리의 "정지된 순간"을 깨뜨리는 행위성 있는 음
  • 공간을 자르고 시간에 균열을 내는 타격

크래시 심벌, 라이드 심벌, 차이나 심벌, 크래시 심벌 2, 라이드 벨의 차이
크래시 심벌, 라이드 심벌, 차이나 심벌, 크래시 심벌 2, 라이드 벨의 차이

🌸 2. 라이드 심벌 (Ride Cymbal)

🌹  “소리의 흐름, 리듬의 강물” = “하이햇이 초침이라면, 라이드는 시계의 중심축” =  “소리는 타격이 아니라, 타격 사이를 흐르는 시간이다”

🌼 물리적 분석

  • 중간 진폭, 긴 서스테인
  • 주로 중저주파대에서 잔잔히 진동하며 유지
  • 어택은 약하고, 릴리즈 없이 서스테인이 길다 → 지속파(CW wave)에 가까움

🌼 철학적 분석

  • 시간을 관통하는 리듬의 기둥
  • 소리라기보다 “흐름” 자체
  • 존재가 아닌 운행(운동)의 사운드

🌸 3. 차이나 심벌 (Chinese Cymbal)

🌹  “금속이 갈라지는 불꽃, 소리의 찢김” = “찢어진 종이, 불꽃, 나무 부러지는 소리, 전쟁의 북”

🌼 물리적 분석

  • 불규칙한 진동 패턴
  • 강한 어택 + 짧은 감쇠 → 거칠고 와이드한 노이즈 계열
  • 고주파보다 중·저역에 가까운 불규칙 진동
  • 공명보다는 파괴적 반사음이 중심

🧠 철학적 분석

  • 소리라기보다 사건
  • 균형 잡힌 소리 세계에 의도적인 충돌, 균열
  • 리듬적 선율 속에 "이질적인 시간" 삽입

🌸 4. 크래시 심벌 2 (Crash 2)

🌹 “이전과 다른 시점의 폭발” : “오른손으로 쳤던 심벌을, 이번엔 왼손으로 쳤을 때의 시선”
 같은 사건을 다른 감각으로 재현하는 것

🌼 물리적 해석

  • 크래시1과 같은 작용 원리
  • 다만 음색의 위치나 공명 주파수가 조금 다름
  • 공간의 다른 쪽에 위치한 또 하나의 감정

🌼 사용 용도

  • “한 번의 폭발로 부족할 때: 공간의 대칭을 위해 두 번째 공명을 만든다

🌸 5. 라이드 벨 (Ride Bell)

🌹   “금속의 중심에서 울리는 고리, 소리의 맥박”: “작고 선명한 동그라미가 퍼지는 물결”
→ 소리의 시간에 점묘화처럼 리듬을 박는다

🌼 물리적 분석

  • 라이드의 중심(벨)을 두드림 → 작은 면적에 고밀도 진동 발생
  • 높은 주파수 + 짧은 잔향, 타이트하고 맑은 어택
  • 진폭은 작지만 에너지 밀도는 높음

🌼 사용 용도

  • 소리의 명료한 지점이 필요할 때
  • 흐름 위에서 박자를 “찍어주는” 시간의 시침
  • 라이드가 강물이라면, 벨은 그 위에 떨어지는 물방울의 원

🌸 6. 하이햇과의 관계

🌼  하이햇 vs 라이드 / 라이드 벨

구분 하이햇 라이드 라이드 벨
음색 짧고 촘촘함 (치칙~) 징징~ 흐름감 있음 팅! 맑고 단단함
위치 드럼 좌측 우측 라이드 중앙 부분
주 용도 벌스(절) 리듬 유지 코러스(후렴) 리듬 유지 강조된 리듬 표현
사용 구간 일반 구간, 타이트한 리듬 후렴, 오픈한 분위기 드라이브 강조, 후반부
  • 🌹  라이드는 하이햇보다 더 “열린 리듬감”을 줌
    → 타이트한 벌스보다, 여유 있는 후렴/코러스에 적합
  • 🌹  라이드 벨은 하이햇보다 “강한 타격감”과 “맑은 강조”가 필요할 때 대체 가능
    • 하이햇 = “촘촘하게 시간을 쪼개는 스톱워치”
    • 라이드 = “자연스럽게 시간 흐름을 읽는 해시계”
    • 라이드 벨 = “리듬에 포인트를 찍는 맑은 종소리”

🌸 7. 심벌 들의 대체 보완 관계

그룹 기본 심벌 대체/보완 심벌 기능 대체 가능? 상황
강세 심벌 크래시 1 크래시 2, 차이나 부분적 가능 톤 바꾸기, 드라마틱 연출
리듬 심벌 하이햇 라이드, 라이드 벨 음악 흐름상 대체 가능 절→후렴 전환 시 활용

 

 

노이만 Neumann TLM 102 마이크 사양 - 무엇이 좋은 마이크일까?

마이크 선택은 녹음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노이만 TLM 102의 사양을 예로 들어봅니다.Neumann TLM 102는 유명한 마이크로, 홈 스튜디오부터 소규모 전문 스튜디오까지 다양한

nonipc.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