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지식/종합소득세

[종합소득세율] 소득공제-배우자공제-부양가족공제-세액공제-세율

moodyblues 2022. 5. 11. 15:58

1. 종합소득 공제

종합소득세율
소득공제, 세액공제, 종합소득세율

1) 인적공제 중 기본 공제

본인, 배우자, 부양가족에 대해 1인당 150만 원씩 공제한다.

(1) 본인 공제, 배우자 공제

배우자의 연간 소득이 1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공제대상에서 제외된다.

  • 배우자의 연간 소득 계산 방법 : 종합소득(종합소득=이자 수입 소득 + 배당소득 + 사업소득 + 근로 소득 + 연금 소득 + 기타 소득) + 퇴직소득 + 양도소득
  • 그러나 배우자가 근로소득만 있고 총급여액이 500만 원 이하인 경우 공제받을 수 있다.

(2) 부양가족 공제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이 연간 소득 금액 100만 원 이하이면서 다음 요건을 해당될 때 1인당 150만 원 공제한다.

구분 공제 대상 요건
직계존속 만 60세 이상
직계비속, 입양자 만 20세 이하
형제자매 민 60세 이상 또는 만 20세 이하
기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의 수급자, 위탁아동

부양가족 소득 금액 산정에 있어서 근로소득만 있고 총급여액이 500만 원 이하인 경우 공제받을 수 있다.

2) 인적공제 중 추가 공제

다음의 경우 해당 금액에 인원수를 곱하여 추가로 공제한다.

추가공제 대상 공제 금액 공제 요건
경로우대 공제 1인당 연 100만원 70세 이상
남녀 모두 해당
장애인 공제 1인당 연 200만원 장애인, 국가유공자(상이자), 중증환자
(소득세법 시행령 107조 참고)
부녀자 공제 연 50만원 종합소득금액 3천만원 이하이면서
① 배우자 없고 부양가족 있는 세대주 여성
② 배우자 있는 여성
한부모 공제 연 100만원 배우자가 없는 사람으로서 기본공제대상자인 직계비속 또는 입양자가 있는 경우에 적용된다.

3) 연금 보험료 공제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공적연금 관련법에 따라 그 과세기간에 납부한 연금보험료

  • 국민연금보험료
  • 공무원연금보험료
  • 군인연금보험료
  •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보험료
  • 별정우체국연금보험료

※ 그러나 위 납입한 연금보험료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는 경우, 향후 연금 수령 시 세금을 내야 한다. 공제를 안 받는 경우 과세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공제보다 후순위로 받는 곳이 유리하다.

4) 개인연금저축 공제

개인연금저축 납입액에 40%를 곱한 금액과 72만 원 중 적은 금액을 공제한다.

5) 기타

주택담보 노후연금 이자비용, 중소기업 창업투자조합 출자, 소기업소상공인 공제부금 등

2. 세액공제

1) 자녀 세액공제

(1) 대상 자녀

7세 이상의 자녀(입양자, 위탁아동 포함)에 대해서 다음 금액을 근로소득에 대한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

  • 자녀세액공제 공제 인원이 1명 : 15만 원
  • 자녀세액공제 공제 인원이 2명 : 30만 원
  • 자녀세액공제 공제 인원이 3명 이상인 경우 : 30만 원 + (자녀세액공제 인원-2) x 30만 원

(2) 출생·입양자

  • 해당 과세기간에 출생하거나 입양 신고한 공제대상 자녀가 있을 경우
  • 첫째 3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 이상 70만 원

2) 근로소득 세액공제

(1) 거주자의 근로소득에 대한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

근로소득에 대한 종합소득 산출세액 공제액
130만원 이하 산출세액의 55%
130만원 초과 715,000원 + 130만원 초과금액의 30%

(2) 세액공제 한도

50만 원∼74만 원

총급여액 세액공제 한도(50만원∼74만원)
3천3백만원 이하 74만원
3천3백만원 초과 7천만원 이하 74만원-[(총급여액-3천3백만원)×0.008] → (최저 66만원)
7천만원 초과 66만원-[(총급여액-7천만원)×1/2] → (최저 50만원)

3) 연금계좌 세액공제

기재 생략

4) 특별세액 공제

(1) 보험료 세액공제 : 다음 구분에 의해 지출금액의 12%(①의 경우에는 15%)를 세액 공제한다.

  • 장애인 전용 보장성 보험료: 한도액 100만 원
  • 기타 보장성 보험료: 한도액 100만 원

(2) 의료비 세액공제

  • 지출 금액의 15%
  • 난임 시술비의 경우 20%

(3) 교육비 세액공제

지출 금액의 15%

(4) 기부금 세액공제

기부금액 세액공제액
1천만원 이하 기부금의 15%
1천만원 초과 기부금의 10%

(5) 표준 세액 공제

다음 구분에 의한 금액을 표준 세액공제로 하여 근로소득자(사업소득자)의 세액에서 공제한다.

구분 세액공제액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로, 소득공제, 세액공제의 신청을 하지 않은 사람 연 13만원
성실사업자로서 의료비 등 세액공제 신청을 하지 않은 사업자 연 12만원
근로소득이 없는 거주자로서, 종합소득이 있는 사람(성실사업자 제외) 연 7만원

3. 종합소득세율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2,000,000원 이하 6% -
12,000,000원 초과 46,000,000원 이하 15% 1,080,000원
46,000,000원 초과 88,000,000원 이하 24% 5,220,000원
88,000,000원 초과 150,000,000원 이하 35% 14,900,000원
150,000,000원 초과 300,000,000원 이하 38% 19,400,000원
300,000,000원 초과 500,000,000원 이하 40% 25,400,000원
500,000,000원 초과 1,000,000,000원 이하 42% 35,400,000원
1,000,000,000원 초과 45% 65,400,000원
종합소득세 관련 참고 글

 

1.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기타 소득이란

2. 종합소득세 납부기한 연장

3. 구글 애드센스 종합소득세 신고 납부 방법 - 유튜브, 블로그, 1인 미디어 창작자 등의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기타 소득, 사업소득 등)

4. 국세청 홈택스 로그인 방법 및 종합소득세 신고 유형 조회

5. 종합소득세 단순경비율 및 기준경비율 및 적용대상자, 간편 장부 대상자 및 복식부기 의무자

6. 종합소득세 D유형 신고방법 및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간편 장부

7. 국세청 손택스(모바일 홈택스) 공동 인증서(공인인증서) 등록 및 pc 인증서 가져오기 방법

8. 종합소득세 신고안내 유형 및 F유형 모두 채움 서비스 신고 방법

9. 종합소득세 경비율: 기준 경비율, 단순경비율 조회 방법 및 단순경비율에 의한 홈택스 신고방법

10. 주택임대소득 신고 방법 - 과세대상 및 분리과세 또는 종합과세 선택 방법.

11. 주택임대소득 단순경비율(종합과세)-근로소득자 신고 방법

12. 모두채움신고(단순경비율 사업소득+ 타소득)